우리나라의 항생제 처방이 다른 나라에 비해 매우 많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국회입법조사처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의 의료의 질 지표 비교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항생제 처방 총량(DDD(Defined Daily does·하루 동안 복용해야하는 평균 용량)은 26.5로 OECD 평균(18.5)보다 크게 높았다고 뉴시스가 보도했다. 우리나라는 그리스(32.1), 이탈리아(28.3)에 이어 OECD에서 세 번 째로 높은 수치를 보였다. 내성 위험이 큰 2차 항생제(세팔로스포린, 퀴놀론)가 차지하는 비율 역시 34.3%로 OECD 평균(19%)을 크게 상회했다. 
 
뉴시스는 해당 보고서를 인용, "우리나라는 항생제 처방량이 많은 편으로 의약품 처방에서 안전성이 낮다" “항생제 사용량이 많으면 여러 항생제에 동시 내성을 갖고 있어 현존하는 항생제로는 치료하기 힘든 '다제내성균'이 출현한다" “항생제는 농축수산물 생산 단계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돼 생태계 전반에 걸쳐 내성균의 발생 및 전파가 순환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항생제 내성으로 인한 공중보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사람·가축·식품·환경 분야를 하나로 인식해 접근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입법조사처는 만성질환 관리, 급성기 진료, 암진료 분야에서 의료 서비스의 질을 OECD와 비교했는데 보고서에 따르면, 천식과 만성폐쇄성폐질환의 불필요한 입원은 인구 10만명 당 263명으로 OECD 평균(225명)을 상회했다. 아울러 급성 심근경색증 입원 환자의 30일 이내 치명률은 9.6%로 OECD 평균보다 높았지만 허혈성 뇌졸중 입원 환자의 치명률은 3.2%로 평균(7.7%)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별도로 우리나라의 암치료 서비스의 질은 비교적 높았고 위암 진단의 5년 순 생존율은 68.9%로 OECD(평균 29.7%) 국가 중 가장 높았다.
 
 

 

ⓒ 서울스트리트저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