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고령화로 장애인 중에서도 노인이 급속히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월 17일 보건복지부의 '2018년도 등록장애인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우리나라 등록 장애인 수는 258만5876명이었다. 전체 인구(5183만여명) 대비 5.0% 수준이다.
그런데 최근 들어 인구 고령화 속도가 빨라지면서 노년층 장애인 비율도 급증했다. 7년 전인 2011년 95만7427명이었던 65세 이상 등록장애인은 2014년 103만2799명, 2016년 108만8700명 등으로 증가 추세를 보인 뒤 지난해 120만6482명까지 늘었다. 불과 2년 만에 11만7782명(10.8%)이나 증가한 것이다.
지난해 전체 노인 인구가 765만408명이었으니 65세 이상 100명 중 15명은 장애를 가지고 있는 셈이다.
전체 연령대별로 보면 70대가 22.2%(57만3031명), 60대가 22.1%(57만215명)로 주를 이뤘다. 9세 이하(1.1%)와 10대(2.3%) 장애인 인구 비중은 적었다.
노년층 장애인 중 가장 많은 장애유형은 지체(49.7%), 청각(20.9%), 뇌병변(11.6%), 시각(10.5%), 신장(2.7%)순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맞춤형 서비스 지원을 위해 7월부터 폐지할 예정인 장애등급별 현황을 보면 중증에 해당하는 1~3급이 98만3769명(38.0%)이었으며 4~6급 등록장애인은 160만2107명(62.0%)었다.
지난해 전체 노인 인구가 765만408명이었으니 65세 이상 100명 중 15명은 장애를 가지고 있는 셈이다.
전체 연령대별로 보면 70대가 22.2%(57만3031명), 60대가 22.1%(57만215명)로 주를 이뤘다. 9세 이하(1.1%)와 10대(2.3%) 장애인 인구 비중은 적었다.
노년층 장애인 중 가장 많은 장애유형은 지체(49.7%), 청각(20.9%), 뇌병변(11.6%), 시각(10.5%), 신장(2.7%)순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맞춤형 서비스 지원을 위해 7월부터 폐지할 예정인 장애등급별 현황을 보면 중증에 해당하는 1~3급이 98만3769명(38.0%)이었으며 4~6급 등록장애인은 160만2107명(62.0%)었다.
장애유형별로는 절반에 가까운 123만8532명(47.9%)이 지체장애였으며 청각 13.2%(34만2582명), 뇌병변(25만3083명)과 시각(25만2957명) 9.8% 순이었다. 반대로 가장 비율이 낮은 유형은 뇌전증으로 0.3%(7021명)였으며 심장(5304명, 0.2%), 안면장애(2689명, 0.1%) 순이었다.
그간 추세를 보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지체장애인 비율이 2009년 53.2%에서 47.9%로 2010년 이후 감소추세인 반면 발달장애(2009년 6.9%→2015년 8.2%→지난해 9.0%), 신장장애(2009년 2.2%→2015년 3.0%→지난해 3.4%)는 증가추세를 보인다.
남성 등록장애인의 비율(150만명·57.9%)이 여성(109만명·42.1%)보다 높았다.
ⓒ 서울스트리트저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독자댓글 총0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