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해양조사원(원장 홍래형)은 10월 5일부터 기관 홈페이지를 통해 천리안위성 2B호의 표준 해양영상정보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천리안위성 2B호는 한반도를 포함한 동아시아 주변의 해양 및 대기 환경을 관측하기 위한 정지궤도 위성으로 지난 2월 19일 남아메리카 기아나 우주센터에서 발사되어 약 8개월간 고품질 해양위성영상을 원활히 제공하기 위한 각종 시험 운영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기존 천리안위성 1호 비해 성능이 대폭 향상된 해양탑재체를 장착하고 있는 천리안위성 2B호는 기존에는 관측할 수 없었던 해무, 저염분수 등 다양한 해양정보를 생산해 낼 수 있다.
국립해양조사원은 홈페이지에 일반 국민이 쉽게 볼 수 있도록 제작한 해양영상정보를 제공한다. 적조·유류유출 등 해양재난을 대응하는 지자체 및 어장탐색 등 어업활동 지원·관리기관과 해양 분야 연구기관 등 다양한 곳에서 활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2021년부터는 해양쓰레기의 광역적 분포, 괭생이모자반(해조류의 일종) 이동경로 등 다양한 해양정보를 지도기반 서비스에 접목시키는 등 다양한 위성정보 서비스를 추가해나갈 예정이다. 향후에는 적조·유류오염 탐지 등 해양현안 대응을 위한 위성정보 서비스도 제공해 나갈 계획이다.
한편, 환경부는 올해 10월 말 천리안위성 2B호의 대기환경 관측 위성 영상을 첫 공개하고, 검증과정을 거쳐 2021년부터 정식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독자댓글 총0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