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연구원이 최근 국토교통부에 제출한 '2018년도 주거실태조사 최종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4년 내에 생애 처음으로 집을 마련한 가구주의 평균 나이는 43.3세로 집계됐다. 기간과 상관없이 처음으로 집을 구한 가구주의 평균 나이는 39.4세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 매년 꾸준히 증가한 수치로 10년 전에 비해 1.1살 더 높아졌다.

   
하지만 집값의 38%는 은행 등 금융기관 대출로 충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신혼부부의 경우 집값의 43%를 금융기관 대출로 이뤄졌다. 이번 조사는 작년 6∼12월 표본 6만1275 가구를 대상으로 개별 면접 방식으로 이뤄졌다.
 
이번 조사 결과(43.3세)는 2017년도 결과(43세)에 비해 0.3세 높다. 특히 2016년(41.9세)과 비교하면 2년 사이에 1.4세 많아졌다.
 
상대적으로 집 마련이 쉬웠던 과거 사례까지 모두 포함하면 전체 조사 대상의 내 집 장만 평균 연령이 39.4세였는데, 2016년의 38.8세, 2017년의 39.1세에 이어 계속 높아지는 추세다.
   
이와 관련 연합뉴스는 6월 24일자 기사를 통해 “소득 하위 가구(소득 10분위 중 1∼4분위)에서는 최근 4년 내 생애 최초 주택을 마련한 가구주의 연령이 평균 56.7세로 조사됐다"며 “거의 환갑에 이르러서야 '내 집' 꿈을 이뤘다는 얘기"라고 보도했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자가(自家) 보유 방법은 기존 주택 구매(57.6%)가 가장 많았다. 이어 신축 건물 분양·구매(20.8%)와 증여·상속(15.6%) 순으로 나타났다.
 
집을 구입하는 데 들어간 재원은 상당 부분 대출에 의존하고 있었다. 주택 구매 당시 주택가격 대비 금융기관 주택 대출금 비율(LTV1)은 평균 37.8%로 조사됐다. 축적된 자산이 없는 청년, 신혼부부의 경우 집값 기준 대출 부담이 훨씬 더 컸다. 청년 가구(가구주 연령 만 20∼34세)와 신혼부부 가구(혼인 5년 이하·여성 배우자 연령 만 49세 이하)의 주택 구입 당시 주택가격 대비 주택 대출금 비율(LTV1)은 각 45.6%, 43.2%에 이르렀다.
  
일반 가구의 70.7%는 "주택 대출금이나 임대료 상환이 부담된다" 답했다. 청년 가구와 신혼부부 사이에서는 이 응답 비율이 84.3%, 82.7%까지 치솟았다. 연합뉴스는 “청년·신혼부부 열 집 가운데 여덟 집 이상이 주택 관련 대출·임대료가 버겁다고 호소한 셈"이라고 전했다.
 
이런 부담 탓에 상당수 청년·신혼부부들은 내 집 마련 엄두를 내지 못하고 전·월세 계약 기한에 따라 이곳저곳 떠돌고 있었다. 실제로 현재 주택에서 거주한 기간이 2년이 채 되지 않는 비율이 일반 가구에서 36.4%인데 비해, 청년 가구와 신혼부부 가구의 경우 각 80.9%, 69.7%로 33.3∼44.5%P나 높았다.
 
이런 상황에서도 청년, 신혼부부들이 내 집 마련의 꿈을 완전히 포기하지 않았다. 신혼부부 가구의 83.3%가 "내집 마련이 꼭 필요하다"고 답했다. 이 비율은 일반가구(82.5%)보다 오히려 높은 수준이다. 청년가구의 71.0%도 자가 소유를 원했다.
 
 
ⓒ 서울스트리트저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