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2024년 말 기준 전기차 누적 보급량 10만 대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사진=서울시 홈페이지 |
서울시는 2024년 말 기준 전기차 누적 보급량 10만 대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지난 해 전기차 1만3569대를 보급하며, 이를 통해 약 9만7000톤 CO2eq 온실가스를 줄여 대기질 개선에도 크게 기여했다. 이는 연간 소나무 약 70만 그루를 심는 것에 맞먹는 효과이다.
서울시는 올해 전기차 중심의 친환경 교통 문화 정착과 다양한 차종의 보급 활성화, 나아가 전기차 충전 안전 인프라 확대를 통해 시민들이 안심할 수 있는 전기차 환경을 만들어 나간다는 계획이다.
우선, 차종별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지원을 확대한다. 승용차는 성능과 안전성이 우수한 전기차에 차등 보조금을 지급해 품질 개선을 유도하고, 상용차(화물·택시)는 주행거리와 충전 불편 등으로 인한 수요 부진을 고려해 인센티브 제공과 성능개선 지원에 집중한다.
다음으로, 대중교통 분야에 전기차 보급을 확대하여 시민들이 전기차를 보다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도록 하고, 전년 대비 보조금 공고 시점을 한 달 정도 앞당겨 보조금 지급 공백기를 줄여 시민 불편을 최소화할 예정이다.
올해 보급하는 전기차는 총 9,276대로 민간에 9,096대, 공공에 180대를 각각 상·하반기 나누어 보급할 예정이다. 민간 보급 9,096대를 차종별로 살펴보면 ▲승용차 5,000대 ▲화물차 700대 ▲이륜차 1,800대 ▲택시 1,200대 ▲시내/마을버스 383대 ▲어린이 통학차량 10대 ▲순환?통근버스 3대다.
상반기에는 ▲승용차 4,000대 ▲화물차 500대 ▲택시 900대 ▲시내·마을버스 130대 ▲어린이 통학차량 10대 ▲순환?통근버스 3대를 지원할 예정이다. 전기이륜차, 전기택시, 전기버스(시내?마을)는 서울시 별도계획 수립 후 공고할 예정이다.
권민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서울시는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크고 시민생활에 밀접한 상용차와 대중교통 위주의 전기차 보급을 확대하고, 더욱 안전한 전기차 이용 환경을 조성하겠다"며 “특히 전기차 10만 시대를 시작으로 전기차 중심의 친환경 교통체계를 구축해 지속가능한 친환경 도시 서울을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독자댓글 총0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