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정책자료를 발간했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관계부처 합동으로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코로나19 대응 정책자료가 4월 15일 공개됐다. 이번 정책자료에는 화상회의·정부 원격근무 서비스(GVPN)를 활용한 원격 근무, 계산과학공학 개방형 플랫폼인 EDISON 및 웹사이트를 통한 원격 교육 등 '사회적 거리 두기' 내용이 포함됐다.
뉴시스에 따르면, 코로나19의 전 세계적 확산세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주요 20개국(G20)을 비롯한 주요 국가와 세계은행(WB), 아시아개발은행(ADB),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 주요 국제기구는 한국의 코로나19 대응 경험 공유를 요청해오는 상황이다. 기획재정부는 이날 우리나라의 ICT,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대응 사례에 대해 국제기구와 단체가 깊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진단키트 관련 과학기술 연구개발(R&D), AI 활용 의료영상 판독, 역학조사지원시스템, 약물 재창출 연구 등 혁신기술을 기반으로 한 3T(진단·역학조사·환자관리) 대응 등도 담겼다. 공공데이터 개방, 마스크 판매정보 공개 등 데이터 활용을 통한 확산 억제방안에 대한 상세한 내용도 들어갔다. 정부는 이를 국내 정부 기관, 단체, 해외기관 및 주요 외신에 배포할 계획이다. 아울러 한국의 대응 사례에 관심 있는 주요 국가 및 기관들과 보건·경제 분야 화상 콘퍼런스 등도 적극적으로 개최해 한국의 방역, 보건, 경제 대응 경험을 공유할 방침이다.
기재부는 "앞으로도 보건·의료 분야 국내 우수 정책을 적극적으로 공유·확산해 전 세계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정책 공조를 강화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진단키트 관련 과학기술 연구개발(R&D), AI 활용 의료영상 판독, 역학조사지원시스템, 약물 재창출 연구 등 혁신기술을 기반으로 한 3T(진단·역학조사·환자관리) 대응 등도 담겼다. 공공데이터 개방, 마스크 판매정보 공개 등 데이터 활용을 통한 확산 억제방안에 대한 상세한 내용도 들어갔다. 정부는 이를 국내 정부 기관, 단체, 해외기관 및 주요 외신에 배포할 계획이다. 아울러 한국의 대응 사례에 관심 있는 주요 국가 및 기관들과 보건·경제 분야 화상 콘퍼런스 등도 적극적으로 개최해 한국의 방역, 보건, 경제 대응 경험을 공유할 방침이다.
기재부는 "앞으로도 보건·의료 분야 국내 우수 정책을 적극적으로 공유·확산해 전 세계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정책 공조를 강화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서울스트리트저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독자댓글 총0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