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초·중·고교 교사 10명 중 7은 여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각에서는 교사처럼 타(他)직종에도 출산과 육아휴직 등을 활성화 해 여성의 사회진출 통로를 넓혀야 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나온다.
입시업체 진학사에 따르면, 2018년 초중고 교사 43만817명 중 여성은 29만1009명으로 전체의 67.6%를 차지했다.
학교급별로 보면 초등학교는 18만6684명의 교사 중 여성 비율이 77.17%, 14만4055명이었다. 중학교는 69.7%, 고등학교는 52.4%가 여성교사였다. 10년 전보다 심화된 추세다. 2008년 전체 교사 40만3769명 중 여성의 비율은 61.8%였다. 10년 새 5.8%포인트가 증가했다.
올해 신규교사를 기준으로 봤을 때도 교직에서 여성의 비율은 높은 편이다. 지난 2월 서울시교육청이 발표한 2019학년도 국공립 중등학교 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 최종 합격자 수에 따르면 836명 중 76.9%인 643명이 여성이다. 지난 1월 발표한 초등교사 임용에서는 합격자 368명 중 무려 85.1%인 313명이 여성이었다.
올해 신규교사를 기준으로 봤을 때도 교직에서 여성의 비율은 높은 편이다. 지난 2월 서울시교육청이 발표한 2019학년도 국공립 중등학교 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 최종 합격자 수에 따르면 836명 중 76.9%인 643명이 여성이다. 지난 1월 발표한 초등교사 임용에서는 합격자 368명 중 무려 85.1%인 313명이 여성이었다.
진학사 관계자는 "초등학교 교사의 80%에 육박하는 인원이 여성교사라는 것은 저학년 학생들의 성역할 정립에 도움이 되지 않고 교육과 생활지도면에서도 어려움이 존재할 수 있다"고 말했다.
교직에는 여성들의 진출 시도 자체가 많은 편이다. 올해 서울지역 중등교사 응시자 수를 보면 7064명의 여성이 지원해 전체 지원자 8977명 중 78.9%를 차지했다. 남성은 21.1%였다.
교직의 여초현상은 상대적으로 고학력 전문직 여성이 사회에 진출할 수 있는 통로가 좁기 때문에 발생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현진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대변인은 "기업에 입사할 경우 출산 이후에 경력을 이어가기가 힘든 반면 교사의 경우 출산과 육아휴직이 타 직종에 비해 보장이 되는 직군"이라고 설명했다.
우리나라 대학 진학률은 2018년 여학생이 73.8%, 남학생이 65.9%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다.
우리나라 대학 진학률은 2018년 여학생이 73.8%, 남학생이 65.9%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다.
반면 지난해 11월 여성가족부가 발표한 매출액 상위 500대 기업 여성임원 현황에 따르면 2017년 기준 임원 중 여성은 454명으로 전체의 3.0%에 불과했다. 지난 6월 통계청이 발표한 ‘통계플러스 2019 여름호’에도 우리나라 여성 관리자 비중은 12.3%로,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국가 평균인 27.0%, 동아시아 지역 평균 25.8%에 절반에도 못 미쳤다.
여성들은 출산과 육아 과정에서 직업경력을 이어가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지난 1일 여성가족부와 통계청이 공동 발표한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에 따르면 지난해 경력단절여성 184만7000명 중 30대가 48%로 절반을 차지했다. 경력단절 사유로는 결혼 34.3%, 육아 33.5%, 임신·출산 24.1% 순이었다.
김귀옥 한성대 교수는 "현상적으로 보면 교사와 연결하지 않아도 여성들이 사회진출하는 분야가 제한돼 있는 건 맞다"며 "출산과 육아로 여성의 경력단절이 발생하지 않는 보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여성들은 출산과 육아 과정에서 직업경력을 이어가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지난 1일 여성가족부와 통계청이 공동 발표한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에 따르면 지난해 경력단절여성 184만7000명 중 30대가 48%로 절반을 차지했다. 경력단절 사유로는 결혼 34.3%, 육아 33.5%, 임신·출산 24.1% 순이었다.
김귀옥 한성대 교수는 "현상적으로 보면 교사와 연결하지 않아도 여성들이 사회진출하는 분야가 제한돼 있는 건 맞다"며 "출산과 육아로 여성의 경력단절이 발생하지 않는 보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서울스트리트저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독자댓글 총0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