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여든 다섯인 윤한수 옹은 지난 6월 21일 대구시 남구 낙동강 승전기념관에서 열린 ‘제22회 6·25 참전 순국소년병 위령제’에서 참석했다. 6·25 참전 소년·소녀병 전우회장인 그는 거동이 불편해 지팡이를 짚고 어렵게 행사장을 찾았다.
윤 회장은 “내년에도 위령제를 지낼 수 있을까"라며 “이제 전우회의 활동도 늙은이들의 아집으로 비치진 않을지 걱정이 앞선다"고 말했다. 2대 독자인 윤 회장은 6·25전쟁 발발 당시 대구 계성중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이었다. 자고 일어나면 동네 아이들이 전쟁터에 끌려가고 없는 일이 허다한 시절이었다.
윤 회장은 “그해 동네 형 두 사람과 함께 특화병 모집소에 찾아갔다. 어차피 군대에 가야 한다면 친구들과 같이 있는 게 좋겠다는 순진한 생각이었다"며 당시를 회상했다. 그는 “전장에서 ‘꼬마’ 소리를 들어가며 열심히 싸웠다"며 “어린 나이에 목격한 끔찍한 광경이 여전히 마음의 아픔으로 남아있다"고 말했다.
6·25 참전 소년병은 병역 의무가 없는 만 18세 미만 정규군을 뜻한다. 국방부는 이 같은 소년병이 여군 400여명을 포함해 2만9000명이 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중 전사자는 2573명이다. 살아남은 소년병들은 어느새 90세를 바라보는 노인이 됐지만 여전히 학도의용군 등과 달리 국가유공자로 예우를 받지 못하고 있다.
학업을 채 마치지도 못한 이들에게 주어지는 것은 월 20여만 원의 참전수당이 전부다. 15살에 6·25전쟁에 참전한 장병율(86)씨는 “아직도 함께 군 생활을 하다 전사한 사람들에 대한 기억이 생생하다"며 “나라에 대한 섭섭한 마음은 말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라고 말했다.
소년병이었던 남편을 부축해 위령제에 온 김대홍(88)씨는 “남편의 건강이 너무 좋지 않고 정신도 맑지 않은 상태"라며 “내년에 다시 이곳에 올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안타까운 마음을 표현했다.
윤 회장은 20대 국회에서도 참전 소년병 관련 법안이 통과하지 못할 경우 단체 활동을 정리할 계획이다. 국가유공자 인정을 위해 할 만큼 했다는 생각이다. 그는 “16대 국회부터 법안을 제출하며 진보, 보수 정권을 모두 겪었지만 달라지는 건 없었다"며 “이제 남은 2000여명의 소년병 모두 너무 나이가 들었고 나 역시 더 이상 활동이 힘들다"고 말하며 한숨을 쉬었다.
이어 “돈을 바라는 것도 아니고, 이제 와 돈을 받은 들 무슨 소용이 있느냐"며 “나라가 어린 아이들을 전쟁에 동원했다는 역사를 외면하려 우리가 세상을 뜰 때가지 기다리는 건 아닌가 싶기도 하다"고 말했다.
윤 회장은 “그해 동네 형 두 사람과 함께 특화병 모집소에 찾아갔다. 어차피 군대에 가야 한다면 친구들과 같이 있는 게 좋겠다는 순진한 생각이었다"며 당시를 회상했다. 그는 “전장에서 ‘꼬마’ 소리를 들어가며 열심히 싸웠다"며 “어린 나이에 목격한 끔찍한 광경이 여전히 마음의 아픔으로 남아있다"고 말했다.
6·25 참전 소년병은 병역 의무가 없는 만 18세 미만 정규군을 뜻한다. 국방부는 이 같은 소년병이 여군 400여명을 포함해 2만9000명이 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중 전사자는 2573명이다. 살아남은 소년병들은 어느새 90세를 바라보는 노인이 됐지만 여전히 학도의용군 등과 달리 국가유공자로 예우를 받지 못하고 있다.
학업을 채 마치지도 못한 이들에게 주어지는 것은 월 20여만 원의 참전수당이 전부다. 15살에 6·25전쟁에 참전한 장병율(86)씨는 “아직도 함께 군 생활을 하다 전사한 사람들에 대한 기억이 생생하다"며 “나라에 대한 섭섭한 마음은 말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라고 말했다.
소년병이었던 남편을 부축해 위령제에 온 김대홍(88)씨는 “남편의 건강이 너무 좋지 않고 정신도 맑지 않은 상태"라며 “내년에 다시 이곳에 올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안타까운 마음을 표현했다.
윤 회장은 20대 국회에서도 참전 소년병 관련 법안이 통과하지 못할 경우 단체 활동을 정리할 계획이다. 국가유공자 인정을 위해 할 만큼 했다는 생각이다. 그는 “16대 국회부터 법안을 제출하며 진보, 보수 정권을 모두 겪었지만 달라지는 건 없었다"며 “이제 남은 2000여명의 소년병 모두 너무 나이가 들었고 나 역시 더 이상 활동이 힘들다"고 말하며 한숨을 쉬었다.
이어 “돈을 바라는 것도 아니고, 이제 와 돈을 받은 들 무슨 소용이 있느냐"며 “나라가 어린 아이들을 전쟁에 동원했다는 역사를 외면하려 우리가 세상을 뜰 때가지 기다리는 건 아닌가 싶기도 하다"고 말했다.
ⓒ 서울스트리트저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독자댓글 총0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