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화학연구원 소속 신종바이러스융합연구단(CEVI)이 코로나19 치료용 항체 개발에 도움이 되는 결과를 공개했다. 사진=뉴시스DB |
코로나19 감염증이 창궐하는 상황에서 한국화학연구원 소속 신종바이러스융합연구단(CEVI)이 코로나19 치료용 항체 개발에 도움이 되는 결과를 공개했다. 화학연구원은 3월 4일 “기존에 알려진 사스 중화항체 2개와 메르스 중화항체 1개가 코로나19 스파이크 단백질에 결합할 수 있다는 결과를 예측했다"고 밝혔다.
스파이크 단백질은 코로나 바이러스가 인체 세포에 침입할 때 활용되는 단백질을 말한다. 화학연구원 연구진은 스파이크 단백질에 결합할 수 있는 항체를 사스와 메르스로부터 도출했다. 연구진은 생물학 분야 아카이브 ‘bioRxiv’에 공개된 코로나19 스파이크 단백질의 구조 정보 파일을 전달받아 예측 연구를 수행했다. 김홍기 박사는 "코로나19의 유전체 분석을 통해 기존 사스와 메르스 중화항체가 코로나19에 결합할 수 있는지 생물정보학 분석으로 예측해 냈다"고 말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사스 중화항체 2개와 메르스 항체 1개가 코로나19 스파이크 단백질에 결합할 수 있다는 결과를 예측했다. 연구진은 이같은 결과를 기반으로 코로나19 치료용 항체 및 백신 개발을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앞서 CEVI 융합연구단은 지난 2월 17일 질병관리본부로부터 코로나19 바이러스 분리주를 분양받아 화학연구원 생물안전 3등급 시설에서 신속한 배양을 통해 코로나19 바이러스 RNA를 확보했다. 이를 이용해 코로나19 바이러스 검출용 프라이머·프로브 세트의 민감도를 교차비교했다. 코로나19 검출용 주요 프라이머·프로브 세트의 민감도를 비교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프라이머란 특정 유전자 합성의 시작점이 되는 짧은 유전자 서열을 말한다. 또 프로브는 특정 유전자의 증폭을 실시간으로 판독할 수 있는 형광이 표지된 짧은 유전자 서열을 일컫는다.
이미혜 화학연구원장은 “코로나19 바이러스 진단기술, 백신, 치료제 개발을 위해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며 “국민 건강과 밀접한 감염병 해결을 위한 연구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연구진에 따르면, 사스 중화항체 2개와 메르스 항체 1개가 코로나19 스파이크 단백질에 결합할 수 있다는 결과를 예측했다. 연구진은 이같은 결과를 기반으로 코로나19 치료용 항체 및 백신 개발을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앞서 CEVI 융합연구단은 지난 2월 17일 질병관리본부로부터 코로나19 바이러스 분리주를 분양받아 화학연구원 생물안전 3등급 시설에서 신속한 배양을 통해 코로나19 바이러스 RNA를 확보했다. 이를 이용해 코로나19 바이러스 검출용 프라이머·프로브 세트의 민감도를 교차비교했다. 코로나19 검출용 주요 프라이머·프로브 세트의 민감도를 비교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프라이머란 특정 유전자 합성의 시작점이 되는 짧은 유전자 서열을 말한다. 또 프로브는 특정 유전자의 증폭을 실시간으로 판독할 수 있는 형광이 표지된 짧은 유전자 서열을 일컫는다.
이미혜 화학연구원장은 “코로나19 바이러스 진단기술, 백신, 치료제 개발을 위해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며 “국민 건강과 밀접한 감염병 해결을 위한 연구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 서울스트리트저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