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서울시는 치매와 관련한 각종 대책을 수립·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초고령사회에 대비한 종합대책은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고령화에 따라 치매환자도 급증할 것으로 예측됐다. 사진=뉴시스DB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서울시는 9월 10일 "8년 후인 2027년에는 서울시내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21.2%(201만4000명)로 초고령사회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아울러 고령화와 함께 치매환자도 급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난해 기준 서울시 총 인구는 976만5623명이다. 65세 이상은 141만297명(전체 인구의 14.4%)이었다. 65세 이상 인구의 성별은 여자가 78만8347명(55.9%)으로 남자 62만1950명 (44.1%)보다 많다. 100세 이상 인구는 5843명으로 0.06%다.
 
현재 서울시는 치매와 관련한 각종 대책을 수립·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초고령사회에 대비한 종합대책은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고령화에 따라 치매환자도 급증할 것으로 예측됐다.
 
서울시가 2015년에서 2030년까지 15년간 장래인구추계에 따른 65세 이상 인구 대비 치매 유병률을 분석한 결과 2015년 8.5%(10만3000명), 고령사회로 진입한 올해는 9.3%(13만명),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2027년에는 10%(20만2000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나아가 2030년에는 치매유병률이 10.5%(23만3000명)에 이를 전망이다.
 

치매환자 등록자 수는 2008년 898명에서 지난해 8729명으로 10배 가까이 급증했다. 현재 치매환자 1인당 발생하는 사회경제적 비용은 연간 약 2000만원이고 국가가 부담하는 총 비용은 10조원이 넘는다고 서울시는 분석했다. 서울시 치매노인 현황. 표=서울시

  
실제로 서울시내 치매환자는 늘고 있다. 서울시는 2008년부터 지난해까지 10년간 113만9251명을 대상으로 치매 여부를 검진했고 그 결과 인지저하자 19만3582명(17%)이 발견됐다. 이들 인지저하자 중 정밀검진을 통해 치매고위험군(경도인지장애)은 5만8422명(5.1%), 치매군은 6만5748명(5.8%)이 등록됐다.

 
치매 등록인원 역시 급증했다. 치매환자 등록자 수는 2008년 898명에서 지난해 8729명으로 10배 가까이 급증했다. 현재 치매환자 1인당 발생하는 사회경제적 비용은 연간 약 2000만원이고 국가가 부담하는 총 비용은 10조원이 넘는다고 서울시는 분석했다.
 
이처럼 치매환자가 증가하는 탓에 서울시는 대책을 마련해왔다. 1999년 서울시 관악구 보건소에 치매상담센터가 설치됐고 2007년 서울시 광역치매센터가 개소했다. 이후 2009년도에 25개 모든 자치구별로 치매상담센터가 설립됐다.
 
서울시 광역치매센터와 자치구 치매안심센터는 60세 이상을 대상으로 치매조기검진사업을 펼치고 있다. 검진 절차는 상담, 선별검진, 1차 정밀검진, 2차 정밀검진, 치매진단 순이다. 고위험군은 정밀 재검진, 치매예방교육, 인지재활과정에 참여한다. 치매 판정을 받으면 인지건강사업, 저소득층 치료비 지원, 장기요양 등 지역사회 자원에 연계된다.
 
치매환자 중 전국 월평균 소득 100% 미만을 대상으로 1인당 8만원 안에서 확진비가 지원된다. 치매치료비로는 월 3만원이 지급된다.
 
기억키움학교는 치매진단을 받았지만 장기요양등급을 받지 못한 경증치매고령자를 위한 사업이다. 센터별로 하루에 10~20명씩 이용할 수 있다. 이 시설은 저소득층 치매환자에게 인지건강교육과 돌봄을 제공한다.
 
서울형 데이케어센터도 미술치료와 음악치료, 원예치료, 웃음치료를 제공한다. 찾아가는 동주민센터는 지난해 12월부터 25개구 408개동별로 배치된 방문간호사를 통해 조기치매검진을 하고 있다. 방문간호사는 65세 이상 고령자를 방문해 치매선별검사를 통해 치매를 조기에 검진한다. 인지저하가 발견되면 치매안심센터로 연계한다. 치매선별검사, 진단검사, 감별검사가 무료로 제공된다.
  
자치구 치매안심센터는 올 연말까지 만 60세 이상 치매환자와 가족,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로봇을 활용한 치매예방 사업을 벌인다. 이 사업에 참여한 치매환자는 로봇과 대화하며 기억력과 주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등 뇌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 서울스트리트저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