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임은 피임을 하지 않는데도 1년 이상 임신이 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원인은 여성의 난소기능 저하, 자궁 요인, 남성 원인 등 매우 다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한 병원의 난임센터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10년 사이 난소기능 저하가 주요 원인으로 급부상했다. 사진=뉴시스DB

 건강한 임신과 출산은 모든 임산부의 소망이다. 그러나 최근 임신에 어려움을 겪는 부부가 증가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국민관심질병통계에 따르면, 난임 환자 수는 2017년 20만8704명에서 2018년 22만9460명, 2019년 23만 802명으로 연평균 약 5%씩 증가했다. 

 
난임은 피임을 하지 않는데도 1년 이상 임신이 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원인은 여성의 난소기능 저하, 자궁 요인, 남성 원인 등 매우 다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한 병원의 난임센터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10년 사이 난소기능 저하가 주요 원인으로 급부상했다.
 
이는 결혼 연령이 높아지면서 여성들의 임신과 출산 시기가 늦어졌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난소는 여성의 대표적 생식기관이다. 임신에 가장 중요한 배란이 이뤄지는 곳이자 여성호르몬의 분비를 책임진다. 여성은 약 200만개의 원시난포를 가지고 태어나는데 난포의 개수는 나이가 들면서 감소한다. 난소도 노화로 인해 기능이 점차 저하된다. 한 번 떨어진 난소기능은 회복이 어렵다.
 
최근 난소 기능을 진단하기 위한 검사로 난소 나이를 확인할 수 있는 항뮬러관호르몬(AMH) 검사가 주목받고 있다. AMH는 난소에 있는 원시난포에서 분비되는 물질이다. 폐경에 가까울수록 남아있는 난소의 난자 생성 능력이 감소하면서 AMH 수치가 낮아진다.
 
AMH 검사를 통해 난소 예비능을 평가하게 되면 임신, 출산뿐 아니라 다낭성난소증후군, 과립막세포종양 등의 질환 유무와 폐경 시기를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 검사는 별도의 초음파 검사 없이 팔에서 혈액을 채취해 혈액 속에 있는 AMH를 분석한다. 다른 호르몬 검사와 달리 생리 주기의 영향을 적게 받아 생리 주기에 맞춰 검사 받을 필요가 없다.
 
작년 12월부터 난임 원인 규명 및 치료를 위해 실시한 경우 연 1회 건강보험 혜택이 적용됐다. GC녹십자의료재단 진단검사의학과 김수경 전문의는 “보다 정량화된 결과를 산출할 수 있고 월경 주기에 따른 영향이 비교적 적어 기존의 검사들과 함께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10월 10일은 임신과 출산을 장려하는 임산부의 날이다. 더불어민주당이 이날 제15회 임산부의 날을 맞아 "임신과 출산, 육아에 관한 짐을 덜어드리고자, 관련 주거·고용·보육·교육 정책과 입법, 예산 확보에 계속해서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강선우 대변인은 서면 브리핑을 통해 "아이를 낳고 키우는 일에는 너무도 큰 용기가 필요하다"며 "안정적인 주거, 양육과 일의 균형, 보육부터 교육까지 이어지는 고차방정식 문제다. 결코 개인과 가족이 풀 수 없는 매듭이다"라고 했다. 이어 "사회구성원 간, 세대 간 인식의 차이를 더욱 자세히 들여다보고 이해하겠다"며 "국민 여러분께서 하시는 고민에 공감하고, 이를 토대로 아이를 낳고 키우는 일이 진정 '선택'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강 대변인은 비혼모와 다문화 가정 임산부 등과 관련해서는 "축하받아 마땅한 일이지만, 따가운 차별의 시선부터 걱정하고 있는 임산부 여러분들도 계신다"며 "더 두터운 배려와 존중에도 앞장서겠다"고 했다.
 
국민의힘은 임산부의 날을 맞아 "임신과 난임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와 배려, 보다 세밀한 정책지원 등이 반드시 뒤따라야만이 저출생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김예령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임산부의 날이 제정된 지 올해로 벌써 15년이지만 '저출생(低出生)'은 여전히 우리사회의 고질적인 문제로 남아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저출생은 임신과 출산의 어려움을 넘어 보육, 교육, 고용까지 연결되는 하나의 축"이라며 "임산부들과 임신을 준비하는 여성들이 존중받고 배려 받을 수 있는 사회풍토를 조성하고, 맞춤형 정책 발굴과 제도개선을 현실화 시킬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국민의힘은 지난 6월 김미애 의원을 위원장으로 하는 저출생대책특위를 발족시킨 바 있다. 특위는 저출생 원인이 주거불안과 청년일자리 부족, 교육불평등 등에 있는 것으로 보고 일·가정 양립을 위한 전일제 학교 도입 등을 추진하고 있다. 국민의힘은 21대 국회 첫 당론 법안으로 가족돌봄휴가 연장법을 본회의에서 통과시켰다. 출처=뉴시스
 
 
 

 

ⓒ 서울스트리트저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