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대학들은 이미 재정난에 빠져있다. 지난 11년 동안 등록금이 동결돼왔고 저출산으로 대학에 들어오는 학생 수가 크게 줄었기 때문이다. 지금 고교 1학년생이 대학입시를 치르는 2021년에는 30개 이상의 대학이 신입생을 단 한 명도 못 뽑지 못하고 문을 닫을 것으로 교육부는 예측하고 있다. 사진은 지난 6월 1일 서울 서대문구 명지대학교 인문캠퍼스에서 열린 '2019년 1차 MJ모의전형'에 참가한 학생들이 학생부종합전형 안내 및 면접특강을 듣고 있는 장면이다. 사진=명지대

학력 인구가 줄면서 각급 학교에 미치는 영향이 빠른 속도로 퍼지고 있다. 특히 고등교육을 맡고 있는 대학은 소멸 위기까지 처해있다.

 
통계청은 최근 ‘인구통계’를 발표하면서 올해 태어날 아이 수는 30여만명(추정)으로, 사상 최저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현재 대학 입학 정원은 50여만명이다. 따라서 산술적으로 보면 이들이 대학에 진학할 때인 2038년에는 학생이 20여만명이 모자란다. 결국 대학이 입학정원을 대폭 줄이거나 아니면 폐교를 해야 할 상황이 생길 수도 있다. 일각에서는 20년 내로 현재 대학 수의 40%가 사라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현재 대학들은 이미 재정난에 빠져있다. 지난 11년 동안 등록금이 동결돼왔고 저출산으로 대학에 들어오는 학생 수가 크게 줄었기 때문이다. 지금 고교 1학년생이 대학입시를 치르는 2021년에는 30개 이상의 대학이 신입생을 단 한 명도 못 뽑지 못하고 문을 닫을 것으로 교육부는 예측하고 있다. 고교 졸업생이 대학 정원보다 6만여명 더 많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특히 지방대의 경우 살아남기 위해 ‘처절한’ 몸부림을 치고 있다. 경남지역 국립대인 경상대와 경남과학기술대(경남과기대)가 최근 학령인구 감소와 교육환경 변화 등 어려운 현실에 직면해 있는 가운데 더 나은 인재양성과 대학 생존을 위해서는 양 대학 통합만이 유일한 해법이라는 판단에 따라 통합을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두 학교가 각각 실시한 구성원 대상 통합논의 찬반 투표에서 찬성비율이 60~70%를 기록했다.
 
앞서 두 대학은 학령인구 감소 등으로 대학이 통폐합을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 지난해 11월 초 교육부의 ‘2017년 국립대학 혁신지원사업(PoINT)’ 유형Ⅱ에 선정되면서 통합에 속도를 내기 시작했다. 이어 두 대학은 연합대학 구축을 통한 통합을 추진하기 위해 한국생산성본부에 대학통합 용역을 의뢰했다. 한국생산성본부는 지난해 4월과 5월 두 차례에 걸친 대학통합연구 최종 보고회를 통해 구체적인 통합방안을 제시하면서 본격화하기 시작했다.
 
두 대학이 교육부의 국립대학혁신지원사업에 지원한 것은 학령인구가 줄고있는 상황에서 통합이 지역대학의 유일한 희망이고 대안으로 인식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 서울스트리트저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