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즈를 활용한 화상 커뮤니케이션(video calls in Teams)은 3월에만 1000% 이상 증가했다고 한다. 지난 3월 31일 하루에만 팀즈 비디오 콘퍼런스 사용 시간은 최대치인 27억분으로, 3월 16일 9억분에 비하면 보름 만에 3배 늘었다. 사진=뉴시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 팬데믹 현상을 가속화하는 가운데 마이크로소프트(MS)의 협업 커뮤니케이션 허브 '팀즈(Teams)'를 활용한 화상회의가 지난달 1000% 이상 증가했다. 뉴시스에 따르면, 마이크로소프트는 4월 12일 원격근무 트렌드 리포트(Remote work trend report)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도에 따르면, 팀즈를 활용한 화상 커뮤니케이션(video calls in Teams)은 3월에만 1000% 이상 증가했다고 한다. 지난 3월 31일 하루에만 팀즈 비디오 콘퍼런스 사용 시간은 최대치인 27억분으로, 3월 16일 9억분에 비하면 보름 만에 3배 늘었다.
 
화상회의가 활발해진 데는 코로나 감염증의 확산이 크게 작용하고 있다. 대면(對面) 업무가 제한되는 상황에서 얼굴을 보며 소통할 수 있는 화상회의가 급증하고 있다. 미국의 뇌 과학자들은 “아이 콘택트가 도파민, 코티졸 등 호르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줘 안정감을 주는데 마이크로소프트는 재택근무 간 화상회의도 이와 다르지 않다"고 평가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국가별 추이를 보면 팀즈 미팅 시 비디오 기능을 활용하는 비중은 노르웨이와 네덜란드가 6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고 한다. 호주, 이탈리아, 칠레, 스위스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프랑스, 일본 등은 30%대의 비중을 보였다.
 
뉴시스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 모바일 디바이스 기반의 팀즈 사용량도 눈에 띄게 늘었다"면서 “2월 초부터 3월 31일까지 모바일 사용자가 300%가량 증가했다. 특히 글로벌 교육현장과 정부와 관련한 산업군에서의 사용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팀즈 하루 평균 사용 시간도 증가했다. 3월 한 달간 팀즈를 로그인해서 로그아웃 하기까지의 평균 시간이 1시간 이상 길어졌다.
 
아울러 마이크로소프트는 팀즈의 새로운 기능을 추가했는데 '회의 종료(end meeting)' 기능으로 모임 주최자가 클릭 한 번으로 회의를 끝낼 수 있게 됐다고 한다. '출석 체크(participant report)' 기능은 미팅의 주최자가 미팅 참가자의 접속 및 퇴장 시간을 다운로드해 확인할 수 있다.
 
 

 

ⓒ 서울스트리트저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