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이 전 세계 149개국 가운데 23번째로 살기 좋은 나라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사진=뉴시스DB |
한국이 전 세계 149개국 가운데 23번째로 살기 좋은 나라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환경 심각성 등으로 지난해보다 다섯 계단 내려앉았다.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은 최근 미국 비영리단체인 사회발전조사기구(Social Progress Imperative)가 발표한 '2019 사회발전지수(SPI·Social Progress Index)' 결과를 인용해 9월 20일 해당 내용을 공개했다.
한국은 공기질, 수질 등 환경의 질 항목에서 지난해보다 40단계 하락한 92위(61.02점)에 그쳤다. 또 성 소수자 포용, 성별 정치적 영향력 등이 포함된 기회 부문도 26위(73.90점)로 지난해보다 낮게 평가됐다. 또 기초 지식과 정보·통신 접근성 항목이 포함된 웰빙 부문에서 25위(86.08점)로 지난해보다 낮게 평가됐다.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은 최근 미국 비영리단체인 사회발전조사기구(Social Progress Imperative)가 발표한 '2019 사회발전지수(SPI·Social Progress Index)' 결과를 인용해 9월 20일 해당 내용을 공개했다.
한국은 공기질, 수질 등 환경의 질 항목에서 지난해보다 40단계 하락한 92위(61.02점)에 그쳤다. 또 성 소수자 포용, 성별 정치적 영향력 등이 포함된 기회 부문도 26위(73.90점)로 지난해보다 낮게 평가됐다. 또 기초 지식과 정보·통신 접근성 항목이 포함된 웰빙 부문에서 25위(86.08점)로 지난해보다 낮게 평가됐다.
반면 기본 의료지원, 주거, 개인 안전 등 인간의 기본 욕구 부문에서 96.87점으로 7위를 차지하며 작년보다 3단계 상승했다.
사회·환경 등 사회발전 측면에서 가장 살기 좋은 나라 1위에 등극한 국가는 노르웨이로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노르웨이는 인간의 기본 욕구 부문에서 6위(96.89점), 기초 지식 및 정보·통신 접근성, 건강과 복지, 환경의 질을 포함하는 웰빙 부문에서 1위(92.32점), 개인의 권리, 표현의 자유, 포용 등 기회 부문에서 1위(83.64점)에 올랐다.
이어 덴마크, 스위스, 핀란드, 스웨덴, 아이슬란드 순으로 뒤를 이었다. 특히 스웨덴은 지난해 11위에서 여섯 계단 뛰어올랐다. 뉴질랜드는 10위에서 3단계 올랐다. 상위 10개국 가운데 7개국이 유럽 국가였다.
아시아 주요 3개국은 일본(10위), 한국(23위), 중국(89위)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 국가는 지난해보다 모두 하락세를 나타냈다.
중국은 여러 분야에서 정체를 보였다. 개인의 안전과 환경의 질 항목에서 각각 97위(62.02점)와 112위(55.08점)에 그쳤다.
이번 조사에 참가한 149개국의 사회발전지수는 평균 64.47점으로 최초로 발표했던 2014년 평균 62.16점보다 2.31점이 증가했다.
마이클 그린(Michael Green) 사회발전조사기구 최고경영자(CEO)는 "사회발전지수는 UN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달성하기 위해 이행된 노력이 아니라 SDGs 실제적 이행 상황을 측정하는 것"이라며 "현재 수준을 유지한다면 전세계 국가가 2030년까지 이행을 목표로 하고 있는 SDGs를 2073년까지 이행하지 못하게 된다"고 강조했다.
사회·환경 등 사회발전 측면에서 가장 살기 좋은 나라 1위에 등극한 국가는 노르웨이로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노르웨이는 인간의 기본 욕구 부문에서 6위(96.89점), 기초 지식 및 정보·통신 접근성, 건강과 복지, 환경의 질을 포함하는 웰빙 부문에서 1위(92.32점), 개인의 권리, 표현의 자유, 포용 등 기회 부문에서 1위(83.64점)에 올랐다.
이어 덴마크, 스위스, 핀란드, 스웨덴, 아이슬란드 순으로 뒤를 이었다. 특히 스웨덴은 지난해 11위에서 여섯 계단 뛰어올랐다. 뉴질랜드는 10위에서 3단계 올랐다. 상위 10개국 가운데 7개국이 유럽 국가였다.
아시아 주요 3개국은 일본(10위), 한국(23위), 중국(89위)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 국가는 지난해보다 모두 하락세를 나타냈다.
중국은 여러 분야에서 정체를 보였다. 개인의 안전과 환경의 질 항목에서 각각 97위(62.02점)와 112위(55.08점)에 그쳤다.
이번 조사에 참가한 149개국의 사회발전지수는 평균 64.47점으로 최초로 발표했던 2014년 평균 62.16점보다 2.31점이 증가했다.
마이클 그린(Michael Green) 사회발전조사기구 최고경영자(CEO)는 "사회발전지수는 UN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달성하기 위해 이행된 노력이 아니라 SDGs 실제적 이행 상황을 측정하는 것"이라며 "현재 수준을 유지한다면 전세계 국가가 2030년까지 이행을 목표로 하고 있는 SDGs를 2073년까지 이행하지 못하게 된다"고 강조했다.
ⓒ 서울스트리트저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