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독거노인이 48만5006명으로 전체 51.5%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독거노인 2명 중 1명은 사회활동에 전혀 참여하지 않고 있음을 보여준다. 지난 1월 서울역 광장에서 열린 대한적십자사 시무식 겸 떡국 나눔 행사를 찾은 노숙인 및 인근 독거노인들이 줄지어 배식을 기다리고 있다. 사진=뉴시스DB

혼자 사는 이른바 독거(獨居)노인이 사회적으로도 고립돼 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승희 자유한국당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입수해 공개한 ‘2018년 독거노인 사회적관계망 조사결과 현황’에 따르면, 2018년 독거노인 수급자는 94만859명으로 확인됐다.
  

 

 

보건복지부 자료를 근거로 김승희 의원실이 재정리했다. 조사대상은 만65세 이상 1인 가구 노인으로, 국민기초생활수급자 또는 기초연금 수급자 중 정부제공 유사 재가복지서비스를 받고 있지 않은 어르신이다.

  
이 중 사회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독거노인이 48만5006명으로 전체 51.5%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독거노인 2명 중 1명은 사회활동에 전혀 참여하지 않고 있음을 보여준다. 시도별  독거노인 사회활동 참여 현황을 보면, 사회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독거노인은 제주가 인구 대비 70.6%로 가장 높았고, 전남이 32.5%로 가장 낮았다.
    
독거노인의 사회활동 유형을 조사한 항목에서는 경로당을 이용하는 독거노인이 21만6295명(47.6%)로 가장 많았다. 이어 종교시설을 이용하는 노인이 21만2109명(26.7%)으로 두 번째를 차지했다. 세 번째는 복지관으로 4만6682명(10.3%)이었다. 시도별 경로당 사회활동을 살펴보면 경북이 인구 대비 71.9%로 가장 높았고, 이어 경남 70%이었다. 반면 서울은 10.8%에 불과했다. 이 항목에서는 시도별 편차가 크게 나타났다.

 

    

보건복지부 자료를 근거로 김승희 의원실이 재정리했다. 조사대상은 만65세 이상 1인 가구 노인으로, 국민기초생활수급자 또는 기초연금 수급자 중 정부제공 유사 재가복지서비스를 받고 있지 않은 어르신이다.
2018년 독거노인 이웃(친구)과의 왕래·연락 정도. 자료=보건복지부

  
이번 조사에서 나타난 특징 중 하나는 독거노인들이 사회생활도 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가족과의 왕래도 하지 않는 이들이 적지 않다는 점이다. 가족과의 왕래가 전혀 없는 독거노인은 전체 94만859명 중에서 10만2263명(10.9%)으로 조사됐다. 독거노인 10명 중 1명이 가족과의 왕래 또는 연락이 두절된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과 왕래·연락이 전혀 없는 독거노인의 시도별 현황을 살펴보면, 대전이 인구 대비 20.4%로 가장 많았고, 전남이 4.2%로 가장 낮았다.

 
가족과의 왕래·연락 현황 조사에서 응답이 가장 높은 것은 월(月) 1~2회(24.5%)였다. 이어 주 1~2회(23.6%), 분기 1~2회(21.8%), 연 1~2회(19.3%) 순이었다.
 
 
김승희 의원은 “가족과 연락도 하지 않고 지내는 독거노인이 적지 않은데 사회생활을 적극적으로 하는 어르신일수록 삶의 질이 높다"며 “정부와 지자체가 어르신들의 활동을 최대한 도와야 한다"고 말했다.

   

독거노인에게 이웃(친구)과 왕래 또는 연락을 하는지도 물었다. 그 결과, 주 1~2회 연락 또는 만난다는 답변이 38.8%로 가장 많았다. 월 1~2회가 25.3%로 두 번째를 차지했다. 세 번째는 왕래·연락이 전혀 없다는 답변(16.2%)이었다. 이어 분기 1~2회 12.4%, 연 1~2회 7.3%순으로 조사됐다.
     
김승희 의원은 “가족과 연락도 하지 않고 지내는 독거노인이 적지 않은데 사회생활을 적극적으로 하는 어르신일수록 삶의 질이 높다"며 “정부와 지자체가 어르신들의 활동을 최대한 도와야 한다"고 말했다.
 
 

 

ⓒ 서울스트리트저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