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0년 이후 선진국 경제는 ‘저성장’과 ‘불평등 확대’라는 난제를 동시에 마주하고 있다. 기업 간 생산성 격차 확대 측면에서 보면, 소수의 기업만이 생산성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그로 인한 임금 증가 역시 선도기업의 노동자들에게 국한되어 있다. 디지털 혁명은 이러한 생산성 증가 확대의 한 중요한 요인이다. 자료=통계청 |
통계청 산하 통계개발원(SRI)은 6월 28일 ‘KOSTAT 통계플러스(2019 여름호)’를 발간했다. 이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재생에너지 비율과 미세먼지 농도가 OECD와 비교했을 때 최하위에 속한다고도 적시했다.
2016년 기준 재생에너지의 비율은 전세계적으로 17.5%로 2000년(17.3%)보다 0.2%p 증가했다. 하지만 같은 시기 아시아 지역의 경우 25.3%에서 16.3%로 감소했다. 한국은 2000년도 0.7%에서 2016년 2.6%로 증가했으나 OECD 회원국 중에서는 가장 낮았다. 총 에너지 중 아이슬란드는 78.1%, 노르웨이는 59.5% 스웨덴은 51.4%가 재생에너지였다.
직경이 1000분의 2.5㎜보다 작은 초미세먼지 농도 역시 우리나라는 24.6㎍/㎥로 터키(42.0㎍/㎥) 이후 두 번째로 높았다(2016년 기준). 세계무역기구(WTO) 권고기준 연평균 10㎍/㎥ 미만인 국가는 OECD 회원국 중 12개국뿐이었다. 뉴질랜드가 5.7㎍/㎥로 초미세먼지 농도가 가장 낮았으며 핀란드, 스웨덴, 아이슬란드 또한 5.9㎍/㎥ 수준을 유지했다.
보고서는 "연평균 35㎍/㎥는 WTO 대기질 권고기준인 10㎍/㎥에 비해 사망위험률이 약 15% 증가하게 된다"며 "연평균 농도 25㎍/㎥는 35㎍/㎥보다 사망률이 약 6% 감소하는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성평등과 관련해 이번 보고서는 “우리나라의 여성 관리자 비중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낮다"고 했다. 여성 국회의원 비율 또한 전 세계 평균보다 낮았다. 2017년 기준 우리나라의 여성 관리자 비중은 12.3%로 OECD 국가 평균(27.0%), 동아시아 지역 평균(25.8%)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우리나라 여성 국회의원의 비율도 2000년 3.7에 비해 4배 이상 증가한 17.0%였으나 OECD 국가 평균인 23.4%보다 현저히 낮았다. 이는 동아시아 지역(20.9%) 평균보다도 낮은 수준이었다.
세계적으로 볼 때 여성 국회의원 비율은 2000년 13.3%에서 2018년 23.4%로 증가했으나 여전히 의석 4석 중 3석은 남성이 차지했다. 특히 2018년 기준 OECD 회원국의 절반인 18개국에서 여성 국회의원 비율이 30% 이상을 보였다. 이중 스웨덴은 43.6%나 차지했다.
여성관리자와 여성 국회의원 비율이 OECD 회원국 중 하위 25%에 속하는 국가는 일본·칠레·터키·한국이며 뉴질랜드·노르웨이·스웨덴 등은 상위 25%에 속했다.
1. 기업간 생산성 격차 확대(추세와 전망)
2000년 이후 선진국 경제는 ‘저성장’과 ‘불평등 확대’라는 난제를 동시에 마주하고 있다. 기업 간 생산성 격차 확대 측면에서 보면, 소수의 기업만이 생산성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그로 인한 임금 증가 역시 선도기업의 노동자들에게 국한되어 있다. 디지털 혁명은 이러한 생산성 증가 확대의 한 중요한 요인이다.
2. 한국의 SDGs 이행현황 분석(교육, 성평등, 에너지, 도시 부문을 중심으로)
3. 20대의 사회의식과 여가행태 변화(2011~2017년)
20대의 신문 보는 인구는 점점 감소하고 있으며, 향후 희망하는 여가활동은 관광이 가장 많고, 취미·자기개발, 문화예술관람 순이다. 20대의 여행 패턴은 국내 여행의 경우 횟수와 증가폭은 30·40대보다 적으나, 해외 여행의 횟수와 증가폭은 40대보다 크다(2011~2017년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