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은 정부 주도로 추진하고 있다. 2007년에 이미 육·해·공 무인이동체 통합로드맵을, 2014년에 미래형 항공기 기술 개발 로드맵을 수립했다. 특히 DARPA(미 국방부 방위고등연구계획국)은 생각만으로 조종이 가능한 신경계 드론 프로그램을 추진 중이다. 사진=DARPA |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과연 어떤 산업이 부상할까. 재단법인 ‘여시재’가 지난 1년간 진행한 ‘미래산업 공개 토론회’ 결과를 바탕으로 네 가지 신산업 분야를 선정, 혁신의 길을 찾는 작업을 하고 있다. 여시재는 최근 코로나 이후 시대를 이끌어갈 유력한 성장 동력 중 하나로 ‘드론 산업’을 선정했다. 드론 산업 연구에는 강왕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무인이동체사업단 단장, 강창봉 항공안전기술원 드론안전본부 본부장, 윤광준 건국대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교수 그리고 여시재 드론산업연구팀(책임연구원·송보희SD) 등이 참여했다.
여시재는 드론산업 발전을 위한 핵심 프로젝트 네 가지를 제안하면서 “3000개의 섬을 활용한 드론 그리드를 구축하자"고 강조했다.
먼저 ‘항공드론 산업단지+AI 벤처센터+5G+에너지밸리+드론 그리드’를 총망라한 ‘드론 산업 클러스터’ 조성이다. ‘호남+영남 항공 드론 산단’, 특히 고흥과 진주를 연계해야 한다. 두 지역은 드론 산업에 적합한 지리적 환경과 산업 생태계 조성이 적합하다.
둘째. 광주 AI 산업융합집적단지+5G 통신 구축이다. 광주 AI 집적단지와 항공 드론 산단 연계는 필수적이다.
셋째. 나주에너지밸리와의 연계가 필요하다. 수소연료전지는 드론 산업의 후방산업이다. 드론 산업 클러스터 내 에너지 산업을 집중 육성해야 한다. 나주에너지밸리를 활용해야 한다.
셋째. 나주에너지밸리와의 연계가 필요하다. 수소연료전지는 드론 산업의 후방산업이다. 드론 산업 클러스터 내 에너지 산업을 집중 육성해야 한다. 나주에너지밸리를 활용해야 한다.
넷째. 3000개 섬을 활용한 드론 그리드 구축을 제안한다. 향후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 도서 국가 진출이 가능할 것이다.
드론은 원래 인간의 접근이 어렵거나 위험한 곳에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설계됐다. 시초는 군사 정찰용이었으나 레저용, 배달용을 넘어 산업용으로 용도가 무한대로 확대되고 있다. 당장 COVID-19 이후에는 긴급 의약품 배달(아프리카), 국경 감시(카자흐스탄) 등에도 쓰이고 있다. 앞으로 AI, Iot, 로봇 등과 연결되면서 세계 시장 규모가 폭발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여시재는 “드론은 모빌리티 산업 자체를 바꿀 가능성이 크다"며 세계 각국 글로벌 기업의 드론 산업 진행 상황을 소개했다. 여시재에 따르면, 중국기업 이항은 2016년에 이미 자율주행 택시를 선보였다. 미 보잉은 에어택시 무인비행시험을 마쳤고 독일 볼로콥터는 2017년 두바이 상공에서 세계 최초로 에어택시 도심 시운전에 성공했다. 아마존은 작년 6월 새로운 드론 운송 시스템인 프라임 에어를 발표했다. 5파운드(2.26kg) 이하의 물건을 싣고 15마일까지 비행할 수 있다. 주문에서 배달까지 30분이면 된다고 한다. 이 드론은 전기 엔진을 탑재해 탄소 배출 제로이기도 하다. 현대자동차는 개인용 비행체로 제품군을 확장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우버는 올해 호주에서 시범 서비스를 실시키로 했고, 한화시스템은 우버 비행체를 개발한 회사에 2500만 달러를 투자했다.
드론은 원래 인간의 접근이 어렵거나 위험한 곳에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설계됐다. 시초는 군사 정찰용이었으나 레저용, 배달용을 넘어 산업용으로 용도가 무한대로 확대되고 있다. 당장 COVID-19 이후에는 긴급 의약품 배달(아프리카), 국경 감시(카자흐스탄) 등에도 쓰이고 있다. 앞으로 AI, Iot, 로봇 등과 연결되면서 세계 시장 규모가 폭발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여시재는 “드론은 모빌리티 산업 자체를 바꿀 가능성이 크다"며 세계 각국 글로벌 기업의 드론 산업 진행 상황을 소개했다. 여시재에 따르면, 중국기업 이항은 2016년에 이미 자율주행 택시를 선보였다. 미 보잉은 에어택시 무인비행시험을 마쳤고 독일 볼로콥터는 2017년 두바이 상공에서 세계 최초로 에어택시 도심 시운전에 성공했다. 아마존은 작년 6월 새로운 드론 운송 시스템인 프라임 에어를 발표했다. 5파운드(2.26kg) 이하의 물건을 싣고 15마일까지 비행할 수 있다. 주문에서 배달까지 30분이면 된다고 한다. 이 드론은 전기 엔진을 탑재해 탄소 배출 제로이기도 하다. 현대자동차는 개인용 비행체로 제품군을 확장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우버는 올해 호주에서 시범 서비스를 실시키로 했고, 한화시스템은 우버 비행체를 개발한 회사에 2500만 달러를 투자했다.
세계시장 규모 6년에 세 배로 커질 것
여시재는 “전 세계 드론 시장은 아직 크다고 말할 수 없다"면서도 “성장 속도가 어느 산업보다도 빠르다"고 했다. 2018년 141억 달러이던 시장규모가 2024년에는 431억 달러 이상으로 전망되는 있는데 해당 431억 달러도 코로나 사태 이전의 추정치여서 성장 속도는 더 가속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한다. 특히 아시아 지역에서는 2018년 4억4000만 달러에서 2024년에 18억 4000만 달러로 커져 세계 시장을 주도할 전망이다.
세계 시장의 양강은 미국과 중국이다. 미국은 정부 주도로 추진하고 있다. 2007년에 이미 육·해·공 무인이동체 통합로드맵을, 2014년에 미래형 항공기 기술 개발 로드맵을 수립했다. 특히 DARPA(미 국방부 방위고등연구계획국)은 생각만으로 조종이 가능한 신경계 드론 프로그램을 추진 중이다. 중국엔 세계 민간 드론의 70% 가까운 시장을 차지하고 있는 DJI가 있다. 6개월 만에 신제품을 출시하는 기동성, 전 직원의 33%가 전문연구직에 종사하는 기술력이 강점이다. EU와 일본도 추격을 위해 법과 제도 정비를 서두르고 있는 중이다.
여시재는 “전 세계 드론 시장은 아직 크다고 말할 수 없다"면서도 “성장 속도가 어느 산업보다도 빠르다"고 했다. 2018년 141억 달러이던 시장규모가 2024년에는 431억 달러 이상으로 전망되는 있는데 해당 431억 달러도 코로나 사태 이전의 추정치여서 성장 속도는 더 가속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한다. 특히 아시아 지역에서는 2018년 4억4000만 달러에서 2024년에 18억 4000만 달러로 커져 세계 시장을 주도할 전망이다.
세계 시장의 양강은 미국과 중국이다. 미국은 정부 주도로 추진하고 있다. 2007년에 이미 육·해·공 무인이동체 통합로드맵을, 2014년에 미래형 항공기 기술 개발 로드맵을 수립했다. 특히 DARPA(미 국방부 방위고등연구계획국)은 생각만으로 조종이 가능한 신경계 드론 프로그램을 추진 중이다. 중국엔 세계 민간 드론의 70% 가까운 시장을 차지하고 있는 DJI가 있다. 6개월 만에 신제품을 출시하는 기동성, 전 직원의 33%가 전문연구직에 종사하는 기술력이 강점이다. EU와 일본도 추격을 위해 법과 제도 정비를 서두르고 있는 중이다.
한국, 드론법 세계 최초로 만든 나라
여시재는 “한국은 기술력에서 미·중에 비해 65% 수준으로 평가받고 있다. 3~5년 정도의 차이다"고 전제한 뒤 “그러나 세계에서 유일하게 ‘드론법’을 만든 나라다. 이를 바탕으로 작년 10월에 ‘드론 규제혁파 로드맵’을 만들었다. 제도 정비에서는 가장 앞서 있다는 평가도 있다"고 했다.
현재 우리나라는 드론 기술 수준이 아직까지는 세계 최고 수준은 아니지만 디지털 기반이 뛰어나고 제도가 상대적으로 유연해 발전 가능성이 크다고 한다. 현재 드론이 갖고 있는 기술적 한계들을 극복하고 차별적 경쟁요소를 확보하는 게 가능하다. 여시재는 “드론·통신 패키지에 투자하고 드론 방위 체계 갖춰야 한다"면서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정책제안을 제시했다.
첫째. 드론용 컴퓨터인 ‘비행제어 컴퓨터(FC)’를 국산화해 표준을 확보해야 한다. 이를 위해 시스템 칩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국산 모델이 시급하다. FC를 운용하는 소프트웨어 개발과 결합이 중요한 것도 물론이다.
둘째. 산업시설 모니터링을 위한 안정적인 드론 통신 시스템 개발이 필수적이다. 중국과 동남아 지역에 향후 건설될 대규모 산업시설에 드론과 통신시스템을 패키지로 수출해야 한다.
셋째. 드론 교통통신시스템을 선점해야 한다.
넷째. 드론에 탑재할 수소연료전지 개발을 서둘러야 한다. 두산DMI를 비롯한 한국 기업들이 기술력에서 앞서 있다. 수소연료전지는 비행시간을 늘리기 위해 필수적이다.
다섯째. 드론을 이용한 미래 방위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드론을 활용한 방위체계는 특히 휴전선과 해안선 방어에 강점이 있다. 드론과 병력을 결합하면 1.5배 이상의 인력운용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공격용 드론 방어를 위한 안티트론 개발도 중요한 요소다.
넷째. 드론에 탑재할 수소연료전지 개발을 서둘러야 한다. 두산DMI를 비롯한 한국 기업들이 기술력에서 앞서 있다. 수소연료전지는 비행시간을 늘리기 위해 필수적이다.
다섯째. 드론을 이용한 미래 방위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드론을 활용한 방위체계는 특히 휴전선과 해안선 방어에 강점이 있다. 드론과 병력을 결합하면 1.5배 이상의 인력운용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공격용 드론 방어를 위한 안티트론 개발도 중요한 요소다.
ⓒ 서울스트리트저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