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구원이 9월 2일 올해 7월 카드매출 빅데이터를 통해 본 서울소비경기지수에 따르면, 가전제품·정보통신 분야에서 큰 폭의 감소 전환이 나타났고 의복·섬유·신발, 종합소매업, 음식점 및 주점·커피전문점업에서도 감소폭이 확대됐다. 사진은 서울 명동 거리에서 스카프를 구경하고 있는 시민들. 사진=뉴시스DB

지난 7월 서울소비경기지수가 전년 동월 대비 2.5%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전달에 이어 소비부진이 지속되며 감소폭 또한 확대됐다.
 
서울연구원이 9월 2일 올해 7월 카드매출 빅데이터를 통해 본 서울소비경기지수에 따르면, 가전제품·정보통신 분야에서 큰 폭의 감소 전환이 나타났고 의복·섬유·신발, 종합소매업, 음식점 및 주점·커피전문점업에서도 감소폭이 확대됐다. 소매업과 숙박·음식점업 모두에서 소비가 준 것이다.
 
가전제품과 정보통신의 큰 폭의 감소 전환과 의복·섬유·신발, 종합소매업, 음식점 및 주점·커피전문점업의 감소폭 확대로 소매업과 숙박·음식점업 모두에서 소비가 줄었다.
 
소매업은 전월보다 소비가 더 줄어 전년 동월 대비 3.5% 감소했다. 음식료품·담배(13.8%)와 무점포소매(6.9%)는 증가세를 유지했지만 지난달까지 호조를 보이던 가전제품 소매업이 소비부진을 보여 가전제품·정보통신이 큰 폭의 감소(-11.5%)로 전환됐다.
 
5~6월 이른 더위와 지난해에 비해 상대적으로 선선한 날씨가 7월에 이어지면서 7월 냉방가전 수요가 감소한 것이 한 원인으로 예상된다. 편의점(1.3%)을 제외한 백화점(-1.1%), 대형마트(-16.9%), 면세점(-16.8%) 등의 소비부진으로 종합소매업은 전월보다 감소폭이 확대(-5.3%)됐다.
 
숙박·음식점업은 전년 동월 대비 0.9% 감소했다. 숙박업은 증가세를 유지하며 8.8% 상승했고 음식점업은 전월과 비슷한 감소폭(-1.7%)을 유지했다. 그러나 주점·커피전문점업(-5.1%)의 내림폭이 확대됐다. 주점·커피전문점업의 소비부진은 커피전문점업의 감소 전환(-2.5%)에 기인한다.
 
권역별 소비경기지수는 도심권의 소비호조가 눈에 띄며 나머지 권역에서는 소비부진이 이어졌다.
 
도심권의 소비경기지수(13.8%)는 지난달과 같이 서울의 권역 중 유일하게 전년 동월 대비 증가했다. 지난해 11월 전자상거래 쇼핑몰 본사의 도심권 입지에 의한 무점포소매업 증가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동남권의 소비경기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4%로 전월에 비해 감소폭이 확대됐다. 숙박·음식점업은 전월과 비슷한 하락폭을 유지했지만 소매업의 감소폭은 확대됐다.
 
동북권의 소비경기지수(-5.1%) 역시 전월에 비해 감소폭이 확대됐다. 문화 ·오락 ·여가와 무점포소매업의 소비 호황에도 불구하고 종합소매업의 지속된 부진과 가전제품 ·정보통신의 큰 폭의 소비침체로 소매업은 하락폭이 확대(-6.1%)됐다.
 
서남권의 소비경기지수는 -5.7%로 지난달에 비해 내림폭이 커졌다. 소매업 중 음식료품·담배를 제외한 모든 업종에서 부진을 보였다. 특히 지난달 소비가 강세를 보였던 가전제품·정보통신이 큰 폭의 감소로 전환됐고 무점포소매 또한 감소로 돌아섰다.
 
서북권의 소비경기지수는 지난달에 이어 서울의 권역 중 가장 큰 폭의 소비감소(-10.3%)를 보였다. 지난해 10월 무점포소매업 가맹점이 서북권으로부터 이탈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 서울스트리트저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