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여파가 지속되는 가운데 음식·숙박 등 서비스 업종이 가장 많은 피해를 입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산업연구원이 3월 22일 발표한 '유행성 감염병이 경제와 산업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숙박·음식업에 큰 충격을 입힌 것으로 나타났다. 춘분을 이틀 앞두고 낮 최고 기온 18℃까지 오르며 완연한 봄 날씨를 보인 지난 3월 18일 시민들이 서울 강북구 번동 북서울꿈의숲에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막는 사회적 거리두기를 하며 산책하고 있다.사진=뉴시스DB

코로나19 여파가 지속되는 가운데 음식·숙박 등 서비스 업종이 가장 많은 피해를 입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산업연구원이 3월 22일 발표한 '유행성 감염병이 경제와 산업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숙박·음식업에 큰 충격을 입힌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보고서는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와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등 과거 유사 사례와 현재 코로나19 사태의 비교를 통해 결론을 도출했다. 2015년 메르스 당시 숙박·음식업이 주로 피해를 입었다. 또한 대체적으로 제조업보다 서비스업이 상대적으로 큰 타격을 받았다.
 
보고서는 사스와 메르스의 경우 경제 영향이 단기에 그쳤고 이후 급반등하면서 장기적 영향은 미미했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코로나19의 변수는 지속 기간과 경기 침체로의 전이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수출과 제조업에도 상당한 영향이 예상되고 따라서 이전 사례보다 피해 업종의 범위도 더 넓을 것이라는 견해도 나오는 상황에서 산업연구원은 경우에 따라 전시(戰時) 경제체제에 준하는 자원 배분 방식을 동원할 필요가 있다고 적시했다.
 
실물경제 관련 정책으로는 경기 침체로의 전이를 막기 위한 총수요 부양, 피해업종 기업과 자영업에 대한 유동성 지원, 피해업종 종사자와 취약계층에 대한 생계 지원 등을 꼽았다. 재난기본소득과 같은 보편적 지원보다는 주요 피해 업종과 계층에 집중하는 방식이 바람직하다고 제언했다.
 
 

 

ⓒ 서울스트리트저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