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A는 1일 미국 안보전문가들의 말을 인용, "북한 인권 문제 통해 북한을 계속 압박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사진=VOA 캡처
미국 인권 전문가들은 북한 인권 문제를 통해 대북(對北) 압박을 지속해야 한다는 입장을 나타내고 있다고 미국의소리(VOA)가 1일 보도했다. 전문가그룹은 2년째 공석인 국무부 북한인권특사 임명의 필요성도 강조하고 있다고 한다.
        
보도에 따르면, 뉴욕에 본부를 둔 국제 인권단체 휴먼라이츠워치의 필 로버트슨 아시아 담당 부국장은 “트럼프 행정부가 북한 인권 문제 해결을 위해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트럼프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과의 대화에서 북한 인권 문제가 포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작년 6월 싱가포르에서 열린 미북정상회담에서 핵 문제 뿐 아니라 인권 문제도 논의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정상회담 후 발표된 공동성명에는 북한 인권 상황에 대한 언급은 들어있지 않았다.
      
로버트슨 부국장은 “아직까지는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 인권 문제를 거론하기를 원치 않고 있는 것 같다"며 “이는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로버타 코헨 전(前) 국무부 인권담당 부차관보도 “트럼프 행정부가 새해에 북한 인권 문제에 보다 많은 관심을 가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어 “트럼프 행정부가 북한 정권에 핵 문제 뿐 아니라 인권 문제에 대한 우려도 협상할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로버트 킹 전(前) 국무부 북한인권특사는 “트럼프 행정부가 대북 인권 압박을 높이는 방법 가운데 하나로 국무부 북한인권특사 임명을 꼽았다"고 VOA는 전했다. 2년 째 공석 중인 북한인권특사를 임명하는 것은 트럼프 행정부가 북한 인권 문제에 진지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또 하나의 징표가 될 것이라는 것이다.
        
킹 전 특사는 트럼프 행정부가 출범한 2017년 1월 말에 물러났다. 그 이후 후임자는 임명되지 않았다.
       
VOA는 “워싱턴의 민간단체인 북한인권위원회의 그레그 스칼라튜 사무총장도 ‘북한인권특사 임명이 대북 인권 압박의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앞서 미국은 유엔 안보리에서 2014년 이후 계속돼 온 북한 인권 논의를 작년 12월 초 개최하는 방안을 추진했으나 회의 소집에 필요한 9개 이사국의 동의를 얻지 못해 무산됐다.
  
스칼라튜 사무총장은 올 봄에 다시 미국 정부가 주도권을 가지고 이 과정을 이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VOA는 전했다.
 
 
ⓒ 서울스트리트저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