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합참 관계자는 "국방부와 외교부는 이번 중국과 러시아 군용기의 KADIZ 진입 및 러시아 군용기의 영공침범 행위에 대해 오늘 오후 주한 중국 및 러시아 대사관 관계자를 초치할 것"이라며 "사전 통보없이 KADIZ 진입 및 영공을 침범한 것과 관련해 매우 엄중하게 항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군사전문가들에 따르면, 중국과 러시아 군용기가 함께 기동하면서 4~5대가 카디즈를 넘고 러시아 군용기 1대가 영공을 두 차례 침범하는 정도의 도발은 매우 드문 일이다. 사진=뉴시스DB |
중국의 폭격기 2대와 러시아 폭격기 2대·정찰기 1대 등 5대가 동해상을 연합 비행하며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에 수 차례 진입했다. 이 과정에서 러시아 정찰기 1대는 독도 인근 영공을 두 차례나 침범해 군이 F-15K 전투기를 출격시켜 360여발의 경고사격했다.
합참 관계자는 7월 23일 "오늘 오전 KADIZ를 무단 진입한 중국 군용기는 H-6 폭격기 2대, 러시아 군용기는 TU-95 폭격기 2대와 A-50 조기경보통제기로 1대로 파악된다"고 밝혔다.
이들 중국과 러시아 군용기는 오전 7시 전후로 동해상 북방한계선(NLL) 북방에서 합류해 남하하는 과정에서 KADIZ에 진입했다. 이들 중 러시아 A-50 조기경보통제기 1대가 독도 인근 영공을 침범했다.
군은 제주 서남방 이남과 동해 NLL 북방에서 중국과 러시아 군용기를 포착할 때부터 공군 F-15K와 KF-16 전투기 10여대를 긴급 투입해 전술 조치에 나섰다.
군은 중국과 러시아 군용기에 대한 추적 및 감시 비행과 차단기동을 했다. 이 과정에서 독도 영공을 침범한 러시아 A-50 1대에 대해서는 플레어(Flare, 적외선 유도 미사일을 교란하는 불꽃)를 발사하고, 경고 사격을 하는 등 응당 조치를 했다고 합참은 설명했다.
공군 전투기는 러시아 A-50이 1차로 영공을 침범하자 미사일 회피용 플레어 10여발과 A-50 전방 1㎞ 거리에 기총 80여발을 사격했다. 이어 2차로 영공을 침범했을 때는 플레어 10발과 기총 280여발을 추가로 경고사격했다.
합참 관계자는 7월 23일 "오늘 오전 KADIZ를 무단 진입한 중국 군용기는 H-6 폭격기 2대, 러시아 군용기는 TU-95 폭격기 2대와 A-50 조기경보통제기로 1대로 파악된다"고 밝혔다.
이들 중국과 러시아 군용기는 오전 7시 전후로 동해상 북방한계선(NLL) 북방에서 합류해 남하하는 과정에서 KADIZ에 진입했다. 이들 중 러시아 A-50 조기경보통제기 1대가 독도 인근 영공을 침범했다.
군은 제주 서남방 이남과 동해 NLL 북방에서 중국과 러시아 군용기를 포착할 때부터 공군 F-15K와 KF-16 전투기 10여대를 긴급 투입해 전술 조치에 나섰다.
군은 중국과 러시아 군용기에 대한 추적 및 감시 비행과 차단기동을 했다. 이 과정에서 독도 영공을 침범한 러시아 A-50 1대에 대해서는 플레어(Flare, 적외선 유도 미사일을 교란하는 불꽃)를 발사하고, 경고 사격을 하는 등 응당 조치를 했다고 합참은 설명했다.
공군 전투기는 러시아 A-50이 1차로 영공을 침범하자 미사일 회피용 플레어 10여발과 A-50 전방 1㎞ 거리에 기총 80여발을 사격했다. 이어 2차로 영공을 침범했을 때는 플레어 10발과 기총 280여발을 추가로 경고사격했다.
영공을 침범한 타국 군용기를 향해 우리 전투기가 경고 사격을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중국과 러시아 군용기가 동시에 KADIZ에 진입한 것도 이번이 처음이라고 합참 관계자는 설명했다.
공군 전투기는 KADIZ를 무단 침입한 중국 폭격기에 대해 20여회, 러시아 폭격기와 조기경보기에 대해 10여회 등 30여회 무선 경고통신을 했으나 응답하지 않았다고 합참은 전했다.
영공은 해안선에서 바다로 12해리(약 22㎞)까지인 영해와 영토의 상공을 의미한다. 미식별 항적을 조기에 식별해 영공침범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국가별 임의로 설정한 방공식별구역과는 다른 개념이다. 전투기나 미식별 항공기가 무단으로 KADIZ 진입하면 경고 방송과 함께 대응 출격을 하지만 영공을 침범하면 경고 이후 통제에 따르지 않으면 격추할 수 있다.
합참 관계자는 "국방부와 외교부는 이번 중국과 러시아 군용기의 KADIZ 진입 및 러시아 군용기의 영공침범 행위에 대해 오늘 오후 주한 중국 및 러시아 대사관 관계자를 초치할 것"이라며 "사전 통보없이 KADIZ 진입 및 영공을 침범한 것과 관련해 매우 엄중하게 항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군사전문가들에 따르면, 중국과 러시아 군용기가 함께 기동하면서 4~5대가 카디즈를 넘고 러시아 군용기 1대가 영공을 두 차례 침범하는 정도의 도발은 매우 드문 일이다.
한편 외교부는 이날 러시아 군용기 1대가 독도 영공을 두 차례 침범한 것과 관련해 주한러시아대사관 대사대리를 초치하고 엄중 항의할 예정이다. 외교부에 따르면 러시아 군용기의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 진입 및 독도 영공 침입과 관련해 윤순구 차관보가 이날 오후 3시 외교부 청사로 주한러시아대사관 대사대리를 초치해 항의할 예정이다.
앞서 이날 오전 7시 전후로 중국 군용기 2대와 러시아 군용기 3대가 KADIZ를 수차례 침범했으며, 이 중 러시아 군용기 1대가 독도 영공을 두 차례 침범했다가 우리 군의 경고 사격 이후 공해상으로 이탈했고 이에 우리 군은 제주 서남방 이남에서 동해 북방한계선(NLL) 북방에서 중국과 러시아 군용기를 포착할 때부터 공군 전투기를 긴급 투입해 추적 및 감시 비행과 차단기동을 했다.
합참 관계자는 이와 관련 "오늘 오후 주한 중국 및 러시아 대사관 관계자를 초치할 것"이라며 "사전 통보없이 KADIZ 진입 및 영공을 침범한 것과 관련해 매우 엄중하게 항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합참 관계자는 이와 관련 "오늘 오후 주한 중국 및 러시아 대사관 관계자를 초치할 것"이라며 "사전 통보없이 KADIZ 진입 및 영공을 침범한 것과 관련해 매우 엄중하게 항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서울스트리트저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