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FA는 11월 8일 “현재 미국은 북한의 정권교체(regime change)를 추구하지 않지만 북한이 완전한 비핵화를 계속 거부한다면 미국은 북한의 정권교체를 정책으로 추진할 수 있다"는 말을 미국 고위관리의 말을 인용해 보도했다. 사진=RFA 캡처
미국 중간선거 이후 북한을 향한 ‘대화 분위기’가 달라질 조짐을 보이고 있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은 지난 11월 9일(현지시각) 워싱턴에서 열린 제2차 미중(美中) 외교안보대화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6월 싱가포르에서 약속한 북한의 최종적이고 완전하게 검증된 비핵화를 추구하는데 미중 양국의 단결이 중요하다"는 입장을 중국 측에 전달했다고 VOA가 전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이날 외교안보대화 후 가진 공동기자회견에서 “두 나라는 양국 관계에서 중요한 차이점들에 직면하고 있지만 상호협력은 많은 핵심 사안들에 여전히 필수적"이라면서 북한 문제의 협력을 첫 번째 예로 들었다. 폼페이오 장관은 “모든 유엔 안보리 결의의 지속적이고 엄격한 이행을 통해 (대북) 압박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덧붙였다.
       
미국의 주요 언론은 미북(美北) 고위급회담이 돌연 연기된 것도 북한의 비핵화 협상이 제대로 진전되지 못한 데 따른 것이며 결과적으로 미국 정가에서 북한의 비핵화에 대한 회의론이 확산하고 있다고 전하고 있다.
   
현재 북한은 ‘대북제재를 먼저 해제·완화하라’는 입장이고, 미국은 ‘선(先)비핵화·후(後)제재완화’를 고수하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미 정부 관리는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의 바람과 달리 '선 비핵화·후 제재완화'를 고수하는 이유는 과거 '쪼개기식 접근'이 실패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고 CNN이 보도했다.
   
이런 가운데 자유아시아방송(RFA)은 “현재 미국은 북한의 정권교체(regime change)를 추구하지 않지만 북한이 완전한 비핵화를 계속 거부한다면 미국은 북한의 정권교체를 정책으로 추진할 수 있다"는 말을 미국 고위관리의 말을 인용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미국 고위관리는 지난 8일 미국 버지니아주 알링턴에서 열린 북한 관련 토론회에서 개인적 의견임을 전제로 “미국이 대북제재를 해제할 수 있는 최소한의 조건은 완전한 비핵화"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군은 유엔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제재 결의를 이행하는 데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다"면서 “특히 공해상에 이뤄지는 북한 관련 불법 환적을 다국적연합군과 함께 단속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 서울스트리트저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