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월 6일 오후 서울 동작구 숭실대학교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최로 열린 '2020년도 정부 R&D사업 부처합동설명회'에서 참석자들로 가득 차 있다. 사진=뉴시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등 연구개발(R&D) 사업을 수행하는 10개 중앙행정기관과 합동으로, 2020년도 정부연구개발사업 부처합동설명회를 1월 6일부터 22일까지 2개 권역에서 개최한다.
1월 6일부터 8일은 서울 숭실대학교에서, 1월 20일부터 22일은 대전 국립중앙과학관에서 설명회를 연다. 이번 설명회는 지난 12월 국회에서 확정된 2020년도 정부연구개발 예산 24조2000억에 대해 주요 부처의 연구개발 사업 주요내용 및 세부 추진계획을 산·학·연 연구자들에게 안내하기 위한 자리이다.
권역별로 설명회 첫 날(6일, 20일)은 과기정통부 및 교육부에서 연구개발 사업 내용 및 추진 일정 등을 발표하며, 둘째 날(7일, 21일)은 산업통산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보건복지부, 셋째 날(8일, 22일)은 농림축산식품부·농촌진흥청·산림청, 해양수산부, 환경부의 순서로 발표가 이뤄진다.
앞서 정부는 올해 R&D 사업 예산을 대폭 확대해 전년대비 17.3% 늘어난 24조2000억 예산을 투입키로 확정했다. 특히 연구자들이 하고 싶은 연구를 할 수 있는 기초연구사업 예산이 올해 1조7천1억원에서 2조300억원으로 확대됐다. 또 일본 경제 보복과 관련해 집중 제기되고 있는 소재·부품·장비 분야의 연구 지원을 위해 9000억 늘어난 1조7000억 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3대 핵심 신산업과 데이터, 네트웤, 인공지능 분야에도 신규 사업이 대폭 늘었다. 시스템반도체핵심IP개발(90억원), 상용차산업 혁신성장 및 미래형 산업생태계 구축(114억원), 바이오 빅데이터구축 시범사업(128억원) 등이 대표적이다.
과기정통부는 전체 R&D 예산 8조5029억원 중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직할 출연연구기관 연구운영비 등을 제외하고, 과학기술 분야 4조1524억원, 정보통신(ICT) 분야 1조405억원을 규모로 확정했다.
정책분야별로는 ▲기초연구(1조5312억원)▲원천연구(1조6804억원)▲ICT 연구개발(8121억원) ▲R&D 기반조성(7296억원) 등이다. 올해 과학기술·ICT 분야 R&D사업 종합시행계획은 '제4차 과학기술기본계획', '정부 R&D 중장기 혁신전략' 등 최근 과학기술·ICT 정책에 발맞추고, 저출산·고령화, 재난·안전·환경, 저성장 등 국가·사회문제 전 영역에서 과학기술·ICT의 역할을 강화에 초점을 뒀다.
특히 세계최초 5세대(5G) 이동통신 상용화에 따라 5G 기반의 신산업 육성을 위해 수립한 '5G+ 전략'의 10대 핵심산업?5대 핵심서비스 분야의 전략품목 개발을 위한 ICT R&D 투자를 대폭 확대했다.
ICT 부품·장비의 국산화를 지원하기 위해 5G 장비(기지국) 및 단말기(스마트폰, 웨어러블 기기 등)에 필요한 핵심부품·모듈·디바이스 기술개발을 적극 지원한다.
또 우리나라가 세계최초 5G 상용화 이후에도 글로벌 이동통신 리더십을 지속 확보해 나가기 위한 6세대(6G) 이동통신 핵심기술개발도 추진키로 했다.
이날 부처 사업설명 이외에도 2020년도 정부 R&D 예산 주요내용, 소재·부품·장비 분야 연구개발 후속계획 및 정부 지원시책, 정부 R&D 주요 제도개선 사항 등 주요 핵심정책에 대해서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합동설명회 첫날인 1월 6일에는 과기정통부 김성수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이 직접 참석해 정부 연구개발 예산 확대의 의미를 참석자들에게 전달하고, 동료 연구자로서 참석자들을 격려하는 시간을 가졌다.
김성수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이날 "올해 정부 연구개발 예산이 역대 최고치인 24조2000억원으로 확대된 것은 연구개발을 통해 미래의 불확실성에 대비하고 지속가능한 성장기반을 확충하겠다는 정부와 과학기술계의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2023년도 예산에는 30조 편성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예산 증액도 중요하지만 연구환경과 연구시스템의 변화가 더 중요하다. 연구자들이 맘껏 연구할 수 있도록 정부가 아낌없이 지원하는 것이 기본 철학"이라며 "연구현장과 소통하면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연구성과를 도출하겠다"고 다짐했다.
한편 설명회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설명회 참석을 위한 별도의 사전 신청절차는 없으며 실시간 인터넷 생중계 서비스도 제공된다.
권역별로 설명회 첫 날(6일, 20일)은 과기정통부 및 교육부에서 연구개발 사업 내용 및 추진 일정 등을 발표하며, 둘째 날(7일, 21일)은 산업통산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보건복지부, 셋째 날(8일, 22일)은 농림축산식품부·농촌진흥청·산림청, 해양수산부, 환경부의 순서로 발표가 이뤄진다.
앞서 정부는 올해 R&D 사업 예산을 대폭 확대해 전년대비 17.3% 늘어난 24조2000억 예산을 투입키로 확정했다. 특히 연구자들이 하고 싶은 연구를 할 수 있는 기초연구사업 예산이 올해 1조7천1억원에서 2조300억원으로 확대됐다. 또 일본 경제 보복과 관련해 집중 제기되고 있는 소재·부품·장비 분야의 연구 지원을 위해 9000억 늘어난 1조7000억 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3대 핵심 신산업과 데이터, 네트웤, 인공지능 분야에도 신규 사업이 대폭 늘었다. 시스템반도체핵심IP개발(90억원), 상용차산업 혁신성장 및 미래형 산업생태계 구축(114억원), 바이오 빅데이터구축 시범사업(128억원) 등이 대표적이다.
과기정통부는 전체 R&D 예산 8조5029억원 중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직할 출연연구기관 연구운영비 등을 제외하고, 과학기술 분야 4조1524억원, 정보통신(ICT) 분야 1조405억원을 규모로 확정했다.
정책분야별로는 ▲기초연구(1조5312억원)▲원천연구(1조6804억원)▲ICT 연구개발(8121억원) ▲R&D 기반조성(7296억원) 등이다. 올해 과학기술·ICT 분야 R&D사업 종합시행계획은 '제4차 과학기술기본계획', '정부 R&D 중장기 혁신전략' 등 최근 과학기술·ICT 정책에 발맞추고, 저출산·고령화, 재난·안전·환경, 저성장 등 국가·사회문제 전 영역에서 과학기술·ICT의 역할을 강화에 초점을 뒀다.
특히 세계최초 5세대(5G) 이동통신 상용화에 따라 5G 기반의 신산업 육성을 위해 수립한 '5G+ 전략'의 10대 핵심산업?5대 핵심서비스 분야의 전략품목 개발을 위한 ICT R&D 투자를 대폭 확대했다.
ICT 부품·장비의 국산화를 지원하기 위해 5G 장비(기지국) 및 단말기(스마트폰, 웨어러블 기기 등)에 필요한 핵심부품·모듈·디바이스 기술개발을 적극 지원한다.
또 우리나라가 세계최초 5G 상용화 이후에도 글로벌 이동통신 리더십을 지속 확보해 나가기 위한 6세대(6G) 이동통신 핵심기술개발도 추진키로 했다.
이날 부처 사업설명 이외에도 2020년도 정부 R&D 예산 주요내용, 소재·부품·장비 분야 연구개발 후속계획 및 정부 지원시책, 정부 R&D 주요 제도개선 사항 등 주요 핵심정책에 대해서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합동설명회 첫날인 1월 6일에는 과기정통부 김성수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이 직접 참석해 정부 연구개발 예산 확대의 의미를 참석자들에게 전달하고, 동료 연구자로서 참석자들을 격려하는 시간을 가졌다.
김성수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이날 "올해 정부 연구개발 예산이 역대 최고치인 24조2000억원으로 확대된 것은 연구개발을 통해 미래의 불확실성에 대비하고 지속가능한 성장기반을 확충하겠다는 정부와 과학기술계의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2023년도 예산에는 30조 편성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예산 증액도 중요하지만 연구환경과 연구시스템의 변화가 더 중요하다. 연구자들이 맘껏 연구할 수 있도록 정부가 아낌없이 지원하는 것이 기본 철학"이라며 "연구현장과 소통하면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연구성과를 도출하겠다"고 다짐했다.
한편 설명회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설명회 참석을 위한 별도의 사전 신청절차는 없으며 실시간 인터넷 생중계 서비스도 제공된다.
ⓒ 서울스트리트저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