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는 YTN의 의뢰로 실시한 8월 4주차 주간 집계(8월 26~30일)에서 문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이 전주 대비 0.3%포인트 상승한 46.5%(매우 잘함 27.5%, 잘하는 편 19.0%)를 기록했다고 9월 2일 밝혔다. '국정수행을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평가는 0.2%포인트 내린 50.2%(매우 잘못함 38.4%, 잘못하는 편 11.8%)를 기록했다. 사진=리얼미터 |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 수행 지지율이 하락하고 있는 가운데 진보층과 중도층의 지지층이 지난주 후반부터 재결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리얼미터가 YTN의 의뢰로 실시한 8월 4주차 주간 집계(8월 26~30일)에 따르면, 문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은 전주 대비 0.3%포인트 상승한 46.5%(매우 잘함 27.5%, 잘하는 편 19.0%)로 나타났다. '국정수행을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평가는 0.2%포인트 내린 50.2%(매우 잘못함 38.4%, 잘못하는 편 11.8%)를 기록했다. 긍정평가와의 격차는 오차범위(±2.0%포인트) 내인 3.7%포인트로 좁혀졌다.
문 대통령의 국정 수행 지지율은 조 후보자와 가족에 대한 각종 논란으로 8월 첫째주 50.4%에서 둘째주 49.4%, 셋째주 46.2%로 하향 곡선을 그리다가 3주 만에 소폭 반등했다.
연령과 지역별로 살펴보면, ▲40대(59.0%→61.9%, 부정평가 35.1%) ▲30대(55.5%→57.5%, 부정평가 40.3%) ▲60대 이상(33.4%→34.8%, 부정평가 61.7%) ▲중도층(40.9%→42.0%, 부정평가 55.5%) ▲대전·세종·충청(35.8%→39.8%, 부정평가 57.6%) ▲경기·인천(49.6%→52.5%, 부정평가 44.9%)에서 지지율이 소폭 상승했다.
반면 ▲20대(44.4%→40.4%, 부정평가 55.0%) ▲50대(44.7%→43.3%, 부정평가 53.9%) ▲진보층(77.6%→73.5%, 부정평가 23.9%) ▲보수층(23.0%→21.4%, 부정평가 76.9%) ▲서울(44.8%→42.3%, 부정평가 54.3%) ▲부산·울산·경남(39.7%→37.9%, 부정평가 58.2%) 등에서는 지지율이 하락했다.
리얼미터 측은 "유시민 이사장의 방송 인터뷰와 조 후보자에 대한 실시간 검색어 (지지) 캠페인이 이어지고 8월 30일에는 조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가 사실상 무산되면서 주 후반부터 지지층이 결집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한편 문재인 대통령은 9월 1일 당정청에 입시제도를 재검토할 것을 주문했다. 이번 메시지는 특히 조 후보자 지명에 가장 크게 실망감을 표출하고 있는 20대를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조 후보자의 딸과 관련한 의혹으로 서울대, 고려대, 부산대 등에서 촛불집회가 이어지고 있고, 20대의 대통령 지지율도 빠르게 하락하고 있기 때문이다.
리얼미터에 따르면 문 대통령의 국정 수행에 대한 20대(19~29세)의 긍정 평가는 개각 발표 전인 8월 1주차(5~9일) 조사 때 51.2%에서 8월 4주차(26~28일) 조사 때 39.9%까지 떨어졌다. 같은 기간 부정 평가는 44.4%에서 55.5%까지 상승했다.
조 후보자에 대한 논란으로 30대 이상의 연령대에서도 전반적으로 긍정 평가가 하락하고 부정 평가는 상승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지만 20대에서 유독 지지율의 변동이 큰 편이다.
조 후보자의 장관 임명에 대한 여론도 20대에서 가장 나빴다. 리얼미터가 최근 조 후보자의 장관 임명에 대한 찬반 여론을 조사한 결과 20대의 찬성 응답 비율은 29.1%에 불과했고, 반대 응답 비율은 62.1%에 달했다.
30대(찬성 44.7%, 반대 47.6%), 40대(찬성 54.0%, 반대 40.4%), 50대(찬성 39.3%, 반대 57.3%), 60세 이상(찬성 31.4%, 반대 61.9%) 등 전 연령대를 통틀어 20대의 여론이 가장 나쁘게 나타난 것이다.
20대의 실망감은 지지율 '데드 크로스'로 이어졌다. 문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은 8월 첫주 50.4%에서 넷째주 45.7%까지 떨어졌고, 부정 평가는 44.4%에서 50.8%까지 높아졌다. 부정 여론과 긍정 여론의 격차는 오차범위(±2.5%포인트) 밖으로 벌어졌다.
전문가들은 진학과 취업 등의 고민을 안고 있는 청년층의 경우 공정과 불공정 문제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이번 논란에 여론이 크게 변동한 것으로 보고 있다. 조 후보자 딸의 논문·장학금·진학 문제 등이 핵심 이슈로 부상하면서 사회적 지위에 따른 기회의 불평등에 대한 불만이 한꺼번에 터져 나왔다는 설명이다.
리얼미터가 YTN의 의뢰로 실시한 8월 4주차 주간 집계(8월 26~30일)에 따르면, 문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은 전주 대비 0.3%포인트 상승한 46.5%(매우 잘함 27.5%, 잘하는 편 19.0%)로 나타났다. '국정수행을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평가는 0.2%포인트 내린 50.2%(매우 잘못함 38.4%, 잘못하는 편 11.8%)를 기록했다. 긍정평가와의 격차는 오차범위(±2.0%포인트) 내인 3.7%포인트로 좁혀졌다.
문 대통령의 국정 수행 지지율은 조 후보자와 가족에 대한 각종 논란으로 8월 첫째주 50.4%에서 둘째주 49.4%, 셋째주 46.2%로 하향 곡선을 그리다가 3주 만에 소폭 반등했다.
연령과 지역별로 살펴보면, ▲40대(59.0%→61.9%, 부정평가 35.1%) ▲30대(55.5%→57.5%, 부정평가 40.3%) ▲60대 이상(33.4%→34.8%, 부정평가 61.7%) ▲중도층(40.9%→42.0%, 부정평가 55.5%) ▲대전·세종·충청(35.8%→39.8%, 부정평가 57.6%) ▲경기·인천(49.6%→52.5%, 부정평가 44.9%)에서 지지율이 소폭 상승했다.
반면 ▲20대(44.4%→40.4%, 부정평가 55.0%) ▲50대(44.7%→43.3%, 부정평가 53.9%) ▲진보층(77.6%→73.5%, 부정평가 23.9%) ▲보수층(23.0%→21.4%, 부정평가 76.9%) ▲서울(44.8%→42.3%, 부정평가 54.3%) ▲부산·울산·경남(39.7%→37.9%, 부정평가 58.2%) 등에서는 지지율이 하락했다.
리얼미터 측은 "유시민 이사장의 방송 인터뷰와 조 후보자에 대한 실시간 검색어 (지지) 캠페인이 이어지고 8월 30일에는 조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가 사실상 무산되면서 주 후반부터 지지층이 결집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한편 문재인 대통령은 9월 1일 당정청에 입시제도를 재검토할 것을 주문했다. 이번 메시지는 특히 조 후보자 지명에 가장 크게 실망감을 표출하고 있는 20대를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조 후보자의 딸과 관련한 의혹으로 서울대, 고려대, 부산대 등에서 촛불집회가 이어지고 있고, 20대의 대통령 지지율도 빠르게 하락하고 있기 때문이다.
리얼미터에 따르면 문 대통령의 국정 수행에 대한 20대(19~29세)의 긍정 평가는 개각 발표 전인 8월 1주차(5~9일) 조사 때 51.2%에서 8월 4주차(26~28일) 조사 때 39.9%까지 떨어졌다. 같은 기간 부정 평가는 44.4%에서 55.5%까지 상승했다.
조 후보자에 대한 논란으로 30대 이상의 연령대에서도 전반적으로 긍정 평가가 하락하고 부정 평가는 상승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지만 20대에서 유독 지지율의 변동이 큰 편이다.
조 후보자의 장관 임명에 대한 여론도 20대에서 가장 나빴다. 리얼미터가 최근 조 후보자의 장관 임명에 대한 찬반 여론을 조사한 결과 20대의 찬성 응답 비율은 29.1%에 불과했고, 반대 응답 비율은 62.1%에 달했다.
30대(찬성 44.7%, 반대 47.6%), 40대(찬성 54.0%, 반대 40.4%), 50대(찬성 39.3%, 반대 57.3%), 60세 이상(찬성 31.4%, 반대 61.9%) 등 전 연령대를 통틀어 20대의 여론이 가장 나쁘게 나타난 것이다.
20대의 실망감은 지지율 '데드 크로스'로 이어졌다. 문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은 8월 첫주 50.4%에서 넷째주 45.7%까지 떨어졌고, 부정 평가는 44.4%에서 50.8%까지 높아졌다. 부정 여론과 긍정 여론의 격차는 오차범위(±2.5%포인트) 밖으로 벌어졌다.
전문가들은 진학과 취업 등의 고민을 안고 있는 청년층의 경우 공정과 불공정 문제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이번 논란에 여론이 크게 변동한 것으로 보고 있다. 조 후보자 딸의 논문·장학금·진학 문제 등이 핵심 이슈로 부상하면서 사회적 지위에 따른 기회의 불평등에 대한 불만이 한꺼번에 터져 나왔다는 설명이다.
ⓒ 서울스트리트저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