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월 21일 오전 대구시 남구 낙동강 승전기념관에서 ‘제22회 6·25 참전 순국소년병 위령제’가 진행되고 있다. 사진=뉴시스

올해 여든 다섯인 윤한수 옹은 지난 6월 21일 대구시 남구 낙동강 승전기념관에서 열린 ‘제22회 6·25 참전 순국소년병 위령제’에서 참석했다. 6·25 참전 소년·소녀병 전우회장인 그는 거동이 불편해 지팡이를 짚고 어렵게 행사장을 찾았다.
 
윤 회장은 “내년에도 위령제를 지낼 수 있을까"라며 “이제 전우회의 활동도 늙은이들의 아집으로 비치진 않을지 걱정이 앞선다"고 말했다. 2대 독자인 윤 회장은 6·25전쟁 발발 당시 대구 계성중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이었다. 자고 일어나면 동네 아이들이 전쟁터에 끌려가고 없는 일이 허다한 시절이었다. 
 
윤 회장은 “그해 동네 형 두 사람과 함께 특화병 모집소에 찾아갔다. 어차피 군대에 가야 한다면 친구들과 같이 있는 게 좋겠다는 순진한 생각이었다"며 당시를 회상했다. 그는 “전장에서 ‘꼬마’ 소리를 들어가며 열심히 싸웠다"며 “어린 나이에 목격한 끔찍한 광경이 여전히 마음의 아픔으로 남아있다"고 말했다.
 
6·25 참전 소년병은 병역 의무가 없는 만 18세 미만 정규군을 뜻한다. 국방부는 이 같은 소년병이 여군 400여명을 포함해 2만9000명이 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중 전사자는 2573명이다. 살아남은 소년병들은 어느새 90세를 바라보는 노인이 됐지만 여전히 학도의용군 등과 달리 국가유공자로 예우를 받지 못하고 있다.
 
학업을 채 마치지도 못한 이들에게 주어지는 것은 월 20여만 원의 참전수당이 전부다. 15살에 6·25전쟁에 참전한 장병율(86)씨는 “아직도 함께 군 생활을 하다 전사한 사람들에 대한 기억이 생생하다"며 “나라에 대한 섭섭한 마음은 말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라고 말했다.
 
소년병이었던 남편을 부축해 위령제에 온 김대홍(88)씨는 “남편의 건강이 너무 좋지 않고 정신도 맑지 않은 상태"라며 “내년에 다시 이곳에 올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안타까운 마음을 표현했다.
   
윤 회장은 20대 국회에서도 참전 소년병 관련 법안이 통과하지 못할 경우 단체 활동을 정리할 계획이다. 국가유공자 인정을 위해 할 만큼 했다는 생각이다. 그는 “16대 국회부터 법안을 제출하며 진보, 보수 정권을 모두 겪었지만 달라지는 건 없었다"며 “이제 남은 2000여명의 소년병 모두 너무 나이가 들었고 나 역시 더 이상 활동이 힘들다"고 말하며 한숨을 쉬었다.
 
이어 “돈을 바라는 것도 아니고, 이제 와 돈을 받은 들 무슨 소용이 있느냐"며 “나라가 어린 아이들을 전쟁에 동원했다는 역사를 외면하려 우리가 세상을 뜰 때가지 기다리는 건 아닌가 싶기도 하다"고 말했다.
 
 
 

 

ⓒ 서울스트리트저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