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2018 치매극복의 날' 행사 중 어르신들이 놀이를 통한 치매예방 체험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
우리나라 노인 10명 중 1명 이상은 인지기능이 저하됐는데도 최근 2년 안에 치매검진을 받지 않은 '치매 사각지대'에 놓인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검진에서 이상 소견을 받고도 추가 검진을 받는 경우가 30~40%에 불과하고 진단율에서도 지역별 편차가 발생한 만큼 비용 지원과 인력 확보 등이 필요하다는 진단이 나온다.
2월 26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치매노인과 돌봄제공자를 위한 맞춤형 정책방안 모색'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 노인실태조사에 참여한 65세 이상 1만298명 중 58.4%인 6023명이 최근 2년 내 치매검진을 받지 않았다.
그런데 이 가운데는 인지기능이 예전보다 떨어져 조기발견이 필요한 고위험군이 포함돼 있다.
전체 노인 가운데 인지기능은 저하됐는데 지난 2년 내 치매검진을 안 받은 비율은 12.3%(1263명)였다. 검진을 받지 않은 나머지 4760명(46.2%)은 다행히 인지기능이 정상이었다.
인지저하를 겪은 노인 가운데 검진을 받은 경우는 8.5%(874명)에 불과했으며 33.0%(3401명)는 인지기능이 저하되지 않았고 치매검진도 받았다.
건강검진에서 정확한 판단을 위해 추가 검진이 필요하다는 결과를 받았지만 실제로 검진을 받은 비율은 30~40% 정도에 불과했다.
우선 2016년 기준 일반건강검진에서 정신건강검사(인지기능장애) 1차 검사 결과 추가 진단이 필요한 70세와 74세 대상자는 3만9157명이었다. 그러나 이 중 2차 검진을 받은 비율은 31.5%(1만2343명)에 그쳤다. 2차 검진에서 40.8% 정도인 5038명은 인지기능 저하 판정을 받았다.
40만2079명을 대상으로 한 2016년 66세 생애전환기 건강검진에서 인지기능 검사 수검률은 80.4%(32만3423명)였는데 2차 추가 진단이 필요하다는 판정을 받은 2만9228명의 2차 검진 수검률은 40.3%(1만1775명)로 반 토막이 났다.
치매 사각지대는 지역별 검진기관 편차에서도 나타났다. 보건복지부와 중앙치매센터가 발행한 '대한민국 치매현황 2017' 통계자료를 보면 65세 이상 치매 추정 환자 중 의료기관에서 치매로 진단받은 비율인 치매진단율은 전국 229개 시군구 평균 92.3%였다.
문제는 최소 55.7%에서 최대 155.8%까지 벌어진 지역별 편차였다. 치매진단율이 77.1% 미만으로 저조한 시군구가 47곳이나 됐다.
반대로 117.6%로 과도하게 높은 곳도 17곳이었는데 이는 치매 진단 자체가 부정확하거나 비효율적인 진료 및 치료가 이뤄지고 있다는 뜻으로 추정된다고 연구진은 풀이했다.
유재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 등 연구진은 비용 부담과 치매 관련 인력 확보 등의 정책 방향을 제안했다.
연구진은 "선별검사 이후 진단검사 비용은 저소득층 노인에게만 지원된다는 점에서 노인의 비용 부담 문제가 있을 수 있다"며 "선별검사 이후 진단·감별검사에 대한 비용 지원이 필요한지 검토가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선별검사에서 이상이 발견된 경우 바로 진단·감별검사와 관리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제도를 정비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치매안심센터에서 일괄적으로 시행하도록 하는 방안 혹은 진단의뢰경로(Referral Pathway)를 구축하는 방안이 가능하다"고 제언했다.
지역의 치매 전문성을 높이는 것도 남은 과제다. 연구진은 "지역 치매 관련 인력에 대한 교육과 교육받은 인력을 확보하기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며 "특히 농어촌 지역의 경우, 치매 전문 진료 경험이 부족한 의료진이 관여하는 경우가 많아 의료진을 대상으로 하는 조기 검진 교육 프로그램 또는 교육과정을 개설하고 이를 통해 사업 참여 의사의 치매 대응력을 향상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 서울스트리트저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