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미우리 신문은 지난 12월 13~15일 실시한 전화 여론조사에서 “한일정상회담이 한일 관계가 개선되는 방향으로 향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74%에 달했다고 전했다. 사진은 작년 9월 뉴욕에서 이뤄진 한일정상회담 장면이다. 사진=뉴시스DB

 

일본 국민들은 단순히 ‘韓日(한일)정상회담’을 계기로 한일 관계가 개선되지 않는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미우리 신문은 지난 12월 13~15일 실시한 전화 여론조사에서 “한일정상회담이 한일 관계가 개선되는 방향으로 향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74%에 달했다고 전했다.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정상회담은 이달 말 있을 예정이다. 응답자의 16%만이 “정상회담이 관계 개선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했다.
 
응답자들은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종료 유예에 대해서는 긍적적인 평가를 보였다. 지소미아 협정이 당분간 계속되는 것을 "(긍정적으로)평가한다"는 응답은 64%였다. "평가하지 않는다"는 22%였다.
 
한편 문 대통령의 국정 수행 지지율이 40% 후반대로 상승해 4개월 만에 처음으로 긍정평가가 부정평가를 넘어섰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는 YTN의 의뢰로 실시한 12월 2주차 주간집계(9~13일)에서 문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이 전주 대비 1.8%포인트 오른 49.3%(매우 잘함 26.4%, 잘하는 편 22.9%)를 기록했다고 12월 16일 밝혔다. '국정수행을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평가는 1.4%포인트 내린 46.9%(매우 잘못함 33.2%, 잘못하는 편 13.7%)를 기록했다.
 
문 대통령의 상승세에 대해 리얼미터 측은 “예산안·패스트트랙 법안 처리를 둘러싼 여야 대립 격화에 의한 반사효과, '민식이법·하준이법' 국회 본회의 통과 소식, '독도 헬기 사고 순직 소방대원 합동영결식 참석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고 분석했다.
 
이념 성향별로 보면 진보층(긍정평가 72.9%→78.2%, 부정평가 20.1%)이 결집하는 모습을 보였고 보수층(부정평가 75.9%→75.9%, 긍정평가 21.3%)의 부정평가는 변동이 없었다. 중도층(긍정평가 45.5%→44.6%, 부정평가 51.6%→52.3%)에서는 지지율이 소폭 하락하며 2주 연속으로 부정평가가 긍정평가를 앞섰다.
 

 

ⓒ 서울스트리트저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