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월 23일 오전 아프리카 돼지열병(ASF) 의심 신고가 접수된 경기도 김포시 한 돼지농장에서 방역관계자들이 농장주와 상황조사를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
파주와 연천에 이어 김포에서도 아프리카 돼지열병(ASF) 확진 판정이 나온 가운데 김포시가 발생농가 반경 3㎞ 이내 살처분을 추진하기로 했다.
김포시는 관내 통진읍 양돈농가에서 채취한 시료를 정밀 검사한 결과, 양성으로 나옴에 따라 확산방지를 위한 살처분을 진행하고 있다고 9월 24일 밝혔다. 앞서 9월 23일 오전 6시 40분께 이 농가에서 돼지 4마리가 유산하고 모돈 5마리가 식욕 부진 증상을 보여 돼지열병 의심신고를 했다. 해당 농가는 모돈 180두를 포함해 총 2000마리를 사육 중이었다.
이곳은 돼지열병 최초 발생지인 파주 농장과 직선거리 13.7㎞, 두 번째 발생지인 연천 농장에서는 45.8㎞ 떨어진 지점이다.
김포시는 확진판정과 방역당국의 지시에 따라 발생 농장 1곳과 함께 반경 3㎞ 이내의 농가 4곳을 포함해 총 5개 농장 약 3380마리의 돼지를 살처분한다. 이를 위해 총 120여명의 준비된 전문 용역 인력을 투입했으며 살처분 돼지는 해당 농장에 매몰된다. 살처분은 이날 오후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김포지역에는 현재 20곳의 농가에서 총 3만6471마리의 돼지를 사육하고 있다. 이 가운데 약 3380마리의 돼지가 살처분 대상이다. 김포시는 ASF의 추가 전파를 막기 위해 인력과 장비를 총 동원해 대처하고 있다.
정하영 김포시장은 "행정력을 총 동원해 추가 확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능한 모든 조치를 다하라"고 재난대책본부에 지시했다.
김포시는 지난 9월 17일 파주시의 ASF확진 발표 직후 재난안전대책본부를 긴급 설치하고 거점소독초소는 물론 전체 돼지농장에 통제초소를 24시간 운영하고 있다. 또 확정 판정 전부터 살처본에 대비하고 당직 인력을 추가 보강하는 등 예방조치를 해왔다. 현재는 김포 관내 모든 돼지 축사 주변에 추가 생석회 도포, 방역소독, 이동제한조치 등이 강화됐다.
김포시는 관내 통진읍 양돈농가에서 채취한 시료를 정밀 검사한 결과, 양성으로 나옴에 따라 확산방지를 위한 살처분을 진행하고 있다고 9월 24일 밝혔다. 앞서 9월 23일 오전 6시 40분께 이 농가에서 돼지 4마리가 유산하고 모돈 5마리가 식욕 부진 증상을 보여 돼지열병 의심신고를 했다. 해당 농가는 모돈 180두를 포함해 총 2000마리를 사육 중이었다.
이곳은 돼지열병 최초 발생지인 파주 농장과 직선거리 13.7㎞, 두 번째 발생지인 연천 농장에서는 45.8㎞ 떨어진 지점이다.
김포시는 확진판정과 방역당국의 지시에 따라 발생 농장 1곳과 함께 반경 3㎞ 이내의 농가 4곳을 포함해 총 5개 농장 약 3380마리의 돼지를 살처분한다. 이를 위해 총 120여명의 준비된 전문 용역 인력을 투입했으며 살처분 돼지는 해당 농장에 매몰된다. 살처분은 이날 오후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김포지역에는 현재 20곳의 농가에서 총 3만6471마리의 돼지를 사육하고 있다. 이 가운데 약 3380마리의 돼지가 살처분 대상이다. 김포시는 ASF의 추가 전파를 막기 위해 인력과 장비를 총 동원해 대처하고 있다.
정하영 김포시장은 "행정력을 총 동원해 추가 확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능한 모든 조치를 다하라"고 재난대책본부에 지시했다.
김포시는 지난 9월 17일 파주시의 ASF확진 발표 직후 재난안전대책본부를 긴급 설치하고 거점소독초소는 물론 전체 돼지농장에 통제초소를 24시간 운영하고 있다. 또 확정 판정 전부터 살처본에 대비하고 당직 인력을 추가 보강하는 등 예방조치를 해왔다. 현재는 김포 관내 모든 돼지 축사 주변에 추가 생석회 도포, 방역소독, 이동제한조치 등이 강화됐다.
ⓒ 서울스트리트저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