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가 김상훈 자유한국당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작년말 현재 준공 후 30년이 지난 다세대·단독·아파트·연립 노후주택은 전국적으로 266만6723동에 달했다. 노후주택이 가장 많은 지역은 경북으로, 35만3518동이었다. 사진=뉴시스DB

30년 이상된 노후주택이 서울에 24만7739동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에서 노후주택이 가장 많은 지역은 경북인 것으로 확인됐다.
  
국토교통부가 김상훈 자유한국당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작년말 현재 준공 후 30년이 지난 다세대·단독·아파트·연립 노후주택은 전국적으로 266만6723동에 달했다. 노후주택이 가장 많은 지역은 경북으로, 35만3518동이었다.
 
이어 ▲전남 30만8004동 ▲경남 29만6235동 ▲서울 24만7739동 ▲경기 23만688동 ▲부산 19만5260동 ▲전북 19만33동 ▲충남 18만7117동▲충북 14만3617동 ▲대구 11만8860동 ▲강원 10만386동▲ 인천 7만2166동 ▲대전 6만3176동 ▲제주 5만7277동 ▲광주 5만2752동 ▲울산 3만9063동 ▲세종 1만832동의 순이다.
 
지난해 노후주택 증가량(2014년 대비)은 경기도가 4만2404동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서울 2만6552동, 대구 1만5485동, 경남 1만2824동, 전남 1만1307동, 인천 9031동 등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세종시는 신규주택 건설 등의 영향으로 같은 기간 405동이 감소했다.
 
 
김상훈 의원은 “사람이 살고 있는 노후주택의 경우 지진에 그만큼 취약한 만큼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개축이나 신축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고 사람이 살지 않는 노후주택의 경우 적극적인 재개발 재건축을 통해 건물안전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사진=뉴시스DB

 
김상훈 의원은 “30년 이상 노후주택의 경우 주로 농촌지역의 단독주택이 많지만 저출산·고령화 등으로 인해 증·개축이나 신축 수요가 줄어들어 노후화가 가속화되는 구조"라고 지적했다. 이어 “사람이 살고 있는 노후주택의 경우 지진에 그만큼 취약한 만큼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개축이나 신축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고 사람이 살지 않는 노후주택의 경우 적극적인 재개발 재건축을 통해 건물안전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정부는 대한건축학회에 의뢰한 ‘국가 내진 종합대책 마련을 위한 연구’ 결과를 지난 4월 제출받아 내진보강 종합전략을 마련할 방침이다.

 
 
 
 

 

ⓒ 서울스트리트저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